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사회의 러시아 금융제재에 동참해 러시아 중앙은행과의 거래를 중단하는 등 추가 제재에 동참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수출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에는 업체당 최대 10억원의 긴급 경영 안정자금을 지원한다... 정부, 유류세 인하율 확대 가능성… 30% 적용땐 ℓ당 305원↓
정부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유가 오름세가 계속되자 유류세 인하를 3개월 연장하고 상황에 따라 인하율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20%인 인하율을 30%까지 확대하면 휘발유 가격이 리터(ℓ)당 최대 305원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남기 “소상공인 보험료·공과금 3개월 유예… 대출 만기연장”
정부가 소상공인의 보험료, 공과금을 6월 말까지 3개월간 납부 유예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진흥기금 등 대출에 대해서도 오는 9월 말까지 6개월간 추가로 만기연장·상환유예를 시행한다. 전 국민 고용보험 적용 로드맵 이행을 위해 하반기까지 상용근로자와 프리랜서에 대한 실시간 소득 파악체계를 구축한다... 고유가에 러 제재 리스크… 수출전선 ‘먹구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수출 기업과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 등 수출전선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까지 이번 사태가 수출에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판단했지만, 국제유가 110달러 시대가 열리고 미국의 수출 통제 조치로 대(對) 러시아 수출길이 막히는 등 악재가 잇따라 발생했다... 소상공인업계 “방역패스 중단 넘어 영업시간 철폐하라”
방역패스 중지 등 정부의 방역지침 완화에도 영업시간과 인원제한 등은 유지되면서 소상공인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현행 거리두기 방침을 완전히 철폐하고 민간 자율형 방역 방침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높인다... “이제와서 다시 하라니” 두산重 등 원전 기업들 ‘멘붕’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원전이 주력"이라며 신한울 1·2호기, 신고리 5·6호기의 빠른 정상 가동을 주문했다. 지난 5년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으로 생산 등 모든 것을 멈췄던 원전 기업들은 "이제와서 재개라니"라는 반응을 보이며 멘붕(멘탈붕괴)에 빠졌다... 국제유가, 우크라 사태에 100달러 넘어… 8년 만에 최고
국제유가가 8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수위가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런던ICE선물거래소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오후 8시35분 기준 5월물 브렌트유 선물가격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 105.63달러 선에 거래되고 있다... 원자재 폭등하는데… 연간 물가 5% 넘나
1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미국 등 서방국가의 러시아 금융제재로 러시아의 대유럽 석유, 가스 공급이 차질을 빚게 되면 국제 유가가 2008년 기록한 최고가인 배럴당 150달러까지도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가파른 국제유가 상승은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에 영향을 줘 국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된다. 국제유가 상승은 일반적으로 2~3주의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영향을 준다... 탈원전 말 바꾸기에 5년 허송세월… 원전 생태계 초토화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불안이 가속화한데다 대통령 선거 직전인 점을 고려할 때 '면피성 발언'으로 지적받고 있지만, 원전을 기저전원이라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뛰는 기름값에 밀·옥수수까지… 정부 물가 목표 2.2% 수정 불가피
지난해부터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물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곡물 수입 차질 등의 영향으로 지금보다 더 오를 것으로 점쳐진다. 당초 정부는 올해 상고하저의 물가 흐름을 전망했는데 예상보다 길게 이 여파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 우크라 의존 원자재 재고 확대… 비축유 방출·수입선 다변화
정부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군사적 긴장 고조로 인한 공급망 차질에 대비해 의존도가 높은 원자재 재고를 확대한다. 비상 시 정부 비축유를 방출하고, 수입선을 다변화하는 등 범정부 차원에서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러, 우크라 침공 지시… 산업계, 위기감 고조 '좌불안석'
이미 정부의 우크라이나 여행 금지 발령으로 현지 법인을 둔 기업들의 인력 철수가 끝났다. 러시아 진출 기업도 현지 인력에 대한 안전 대책을 강구 중이다. 기업들은 또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해 글로벌 거래선을 점검하는 한편, 서방의 경제 제재 가능성에 대비해 숨 죽인 채 사태를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