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한 개념이 있는 피크러닝(peak learning)이라는 웹싸이트를 보게 되었는데 내용에 관심이 있었다. 여기 ‘피크’는 산꼭대기를 뜻하기 때문에 등산객, 그만둔 사람, 산꼭대기에 도달한 사람이 있다고 해서 피크 러닝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산꼭대기까지 가는 법을 배운다는 뜻인 것 같았다. 그리고 그들은 역경계수(AQ)를 사용한다. 그들은 IQ, EQ 시대는 다 지나갔다고 말하면서 이제는 우리 앞에 놓인 역경에 대처하는 방법을 말해주는 AQ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출발하고, 오르고, 그만두고, 산의 정상에 도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다리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이 우리의 AQ에 달려있다고 했다. 그들이 개발한 그 사다리의 부제는 ‘장애물을 기회로 바꾸기’였다. 등산하는 사람들은 세 가지가 있다고 표현했다. 처음부터 그만두는 자, 중간에 그만두는 자, 그리고 정상까지 가는 자. 이것을 낮은 AQ, 중간 AQ, 높은 AQ로 설명했다.
이것을 보면서 ‘인내심’에 초점을 맞춘 ‘그릿(Grit)’이라는 책이 다시 생각났다. ‘그릿(Grit)’, ‘인내심(Perseverance)’은 다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즉 어쩌면 AQ와 Grit, and Perseverance는 모두 같은 개념이라고 볼수 있겠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정상에 완전히 도달할 수 있느냐이다. 위에 말했듯이 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아예 처음부터 그만두는 사람(Quitter), 중간에 멈추는 사람(Camper), 계속해서 끝까지 올라가는 사람(Climber)으로 분류될 것이다. 앞의 두 가지 경우는 이유없는 무덤이 없다고 하듯이, 그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문제, 가정적인 문제, 또는 사회적인 문제 등등으로 그만두어야 겠다는 이유일 것이다. 여기에서 역경지수인 ‘높은 AQ(계속 간다)’, ‘중간 AQ(중도에 하차)’, ‘낮은 AQ(나는 힘들다)’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우리 삶에는 어떤 식이든 역경은 있게 마련이다. 어릴 때부터 겪는 사람, 청소년 때 겪는 경우, 또 결혼하여, 또는 나이들어서 겪는 경우도 있겠다. 이러한 역경들을 얼마나 잘 견디어 내어서 오히려 그것이 남은 인생에 재기할 수 있는 받침과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최근에 들은 소식인데 결혼하여 수십년 살던 부부가 이혼을 했다고 내게 알려왔다. 이혼의 이유야 어찌 되었든 현실은 현실이다. 나는 두 가지를 생각해봤다. 양쪽 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소위 말해서 AQ(역경지수)가 높은 사람은 딛고 일어설 것이고, 역경지수가 낮은 사람은 주저앉을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었다.
역경을 통해 뭔가 더 배울 여지가 있을까! 어떤 연구소가 장애로 인해 고생하는 사람들 천 명을 상대로 조사를 했다는 것이다. 질문 내용은, “만약 내가 당신의 장애를 없앨 수는 있지만, 역경에서 얻은 모든 것을 잃게 만들 약을 가지고 있다면, 그 약을 먹을 건가요?”라는 것이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약을 먹은 사람이 몇 명이나 되었을까요?
질문하는 주최 측의 어떤 이는 “90퍼센트는 먹겠지”, 어떤 이는 “75퍼센트 먹을거야”라고 예상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천 명에게 한번 더 “약을 드시겠습니까?”라고 질문을 했는데, 예상과는 완전히 빗나간 아무도 약을 먹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국 고통과 역경은 힘들긴 하지만, 그 과정에서 무언가 배우고 얻은 것을 기억에서 완전히 잊어버리기는 싫다는 것이다.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병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