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월 16일은 시인 윤동주가 서거한 지 72주년이 된다. 윤동주는 우리들에게 참 아름다운 시어를 남긴 시인이다. 육신은 비록 처참하게 산화되었지만 그가 남긴 작품 덕분에 그는 어려웠던 시대에 행복한 크리스천 시인으로 각인되어 있다.
1947년 2월에 유작이 처음 소개되고 함께 추도회가 거행되었다. 1948년 1월에 그의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루어진 유고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나왔다. 자신의 분신 같은 육필 원고를 후배 정병욱에게 보관케 함으로써 첫 시집이 나온 이후 꾸준히 그의 작품들이 발굴되어 지금은 130편의 옥고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윤동주 서거 72주년을 추모하며, 그의 숭실중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과정을 거치는 신인의 삶과 그 시대에 관심가지고자 한다.
숭실활천과「공상(空想)」
윤동주는 연변 용정에서 출생하여 명동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은진중학교에 진학한 윤동주는 집안 어른들을 설득해 그 해 여름 숭실중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게 된다. 문익환이 진학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숭실중학교는 ‘한국의 예루살렘’이라 불리는 평양에 자리 잡고 있는 학교로, 1897년 선교사 배위량(裵緯良, William M. Baird) 가 자택에서 13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학교였다.
윤동주는 숭실중학교 시절 문학에 심취해 1935년 10월에 발간된 『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공상(空想)」을 발표하게 되는데 이 시는 최초로 활자화된 윤동주 시로 주목하게 된다.
윤동주가 쓴 최초의 동시로「조개껍질-바닷물 소리 듣고 싶어」와 「오줌싸개 지도」등도 이때 쓴 작품으로 추정된다.
1935년 9월 숭실중학교 3학년에 편입한 윤동주는 1936년 3월까지, 객지생활 7개월 동안 시 10편, 동시 5편 해서 무려 15편의 시를 쓰며 정지용(鄭芝溶)의 시에 심취해 쉬운 말로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시세계를 열어나간다.
평양 숭실중학교에 와서 그가 만난 것은 뜻밖에 ‘신사참배’ 강요였다. 일제는 각지에 신사를 세우고 학교와 가정에도 소형 신사를 설치하도록 하는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다. 신사참배에 참여하지 않고 있던 기독교는 1935년을 기점으로 조선총독부의 강경책에 신사참배 정책에 저항하면서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1936년 1월 일제 총독부 당국이 신사참배 명령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숭실중학교 윤산온(尹山溫, George S. McCune) 선교사를 교장 직에서 파면하자 일어난 학생들의 항의 시위로 숭실학교는 무기휴교에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윤동주의 숭실중학교 생활은 이렇게 단 7개월만에 끝나고. 1936년 3월 문익환과 함께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용정에서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 4학년에 편입하게 된다. 광명학원은 숭실중학교보다 더 나쁜 상황이었다. 대륙낭인 출신의 일본인이 경영하던 친일계 학교가 되어 버렸던 것이다. 광명중학에 재학하던 2년 동안 윤동주는 동시에 더욱 몰두하여 연길에서 발행되던 월간잡지 「카톨릭소년」에 모두 5편의 동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연희전문학교와「문우」
1938년 4월에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그 해 10월 조선일보에 시 「아우의 인상」와 1939년 2월 조선일보에 수필 「달을쏘다」를 발표하게 된다.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윤동주의 작품중 눈에 띄는 것은 「문우(文友)」에 발표 작품이다. 「문우(文友)는1932년 12월 18일 연희전문학교 문과의 문우회에 의해 태어났다.「연희(延禧)」에 비해 훨씬 문예지 색깔이 나는 잡지로 태어났다.
1941년 「文友」는 5호를 마직막으로 종간 당시 송몽규는 문예부장으로 활동했는데, 시대의 압박으로 마지막 발간되는「문우」에서는 송몽규는 ‘꿈별’이란 필명으로 「하늘과 더불어」를, 윤동주는 「새로운 길,「우물속의 自像畵(자상화)」를 발표했다. 편집 겸 발행인에는 나중에 일본 유학을 하게 되는 강처중(姜?重)으로 되어있다. 이들은 모두 문과 4학년 동급생으로 절친한 우정을 나누던 사이였다.
그리고 이는 최소한 1941년 6월까지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버티며 작품으로 몸부림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문학을 사랑했던 그들이였기에 숱한 고생 속에 겨우 모았던 원고 대부분이 검열에 걸려서 게재 불가능이 되었던 사실과, 식민지 공간 속에서 총력전의 군국주의 체제 강화로 인해 교우회 발행의 「문우」는 해산하지 않으면 안 되는 억압속의 현실이 더더욱 서글프게 느껴졌음을 행간에서 엿보게 한다. 마지막호 전체 내용이 거의 대부분 일문(日文)으로 쓰여져 있을 정도였지만 윤동주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밤하늘 별빛같은 시인 동주를 추모하며
올해 12월 30일은 윤동주 시인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 윤동주, 그의 생애는 짧았지만 음울하고 가혹한 시대 상황 속에서 반드시 여명은 오리라 믿고 써내려간 주옥같은 시어들은 오늘날까지 해맑은 영혼의 징표로 남아 있다. 지금까지 윤동주 시집이 수없이 발행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 십자가를 지며 순례자의 삶을 묵묵히 살아간 시인 동주의 삶과 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회에도 올해는 윤동주를 기리는 문화 행사들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 이는 한국교회가 놓쳐버린 한국교회의 자화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대의 아픔을 안고 밤하늘에 별빛같은 삶을 산 시인을 오늘도 기억하게 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