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분쟁이 계속 고조되고 레바논 남부에서 이스라엘군(IDF)과 헤즈볼라와 같은 무장 단체 사이에 민간인이 갇히게 되면서 기독교 지도자들과 복지 단체들은 전 세계 신자들에게 기도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영국 크리스천투데이(CT)에 따르면, 국제 가톨릭 자선단체인 ACN(Aid to the Church in Need)의 프로젝트 코디네이터인 마리엘 부트로스(Marielle Boutros)는 “세계의 이목이 가자지구 전쟁에 쏠려 있지만 언론이 거의 보도하지 않는 것은 레바논 남부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는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가자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이번 전쟁은 레바논 남부인들이 겪어야 했던 첫 번째 전쟁이 아니다. 그들은 더 이상 로켓의 소음에 대처할 수 없고 정신적 충격을 받고 있다. 그들은 정말로 우리의 기도가 필요하다”라고 했다.

이스라엘 국경 근처에 살고 있는 민간인들은 매일 로켓 공격의 위험에 직면할 뿐만 아니라, 남겨진 잔해 속에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ACN이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2019년부터 시작된 현재 진행 중인 금융 위기로 인해 이미 극심한 빈곤 속에 살고 있다. 그들은 현재 분쟁의 지속적인 영향에 대처하고 있으며 더 안전한 지역으로 이주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교구 중 하나인 티레의 마론파 가톨릭 대주교 샤르벨 압달라는 ACN과의 인터뷰에서 “원래 안전을 찾아 베이루트나 더 북쪽의 레바논 일부 지역으로 피신한 대다수가 강제로 돌아가거나 도망쳐야 했다”면서 “다른 이들은 숙소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거나 그들을 받아들일 능력이 부족한 친척들에 집에 머무르고 있다”고 헸다.

마론파 티레 대교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스라엘 국경 근처의 10개 본당에는 현재 신자의 70%가 돌아왔다. 그러나 압달라 대주교는 “알마 엘 챠에브와 쿠자 교구는 완전히 공습 지역에 있기 때문에 여전히 거의 비어 있다”며 “거기 있는 집의 상당 부분이 완전히 파괴됐다”고 말했다.

귀환한 신자들은 ‘전쟁 상태’에 처해 있으며 마을과 농장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 압달라 대주교는 농민들이 유일한 수입원인 수확을 거두는 것이 이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들의 밭은 분쟁 지역에 있고 화재로 경작지와 과일 나무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압달라 대주교는 “주민들은 점점 더 가난해지고 있으며 더 이상 존엄한 삶을 살 수 없다”라며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병원 입원, 의사 방문 또는 약품에 대한 사회 보장 기금의 보험 보장이 거의 없다”라고 했다.

ACN 코디네이터인 부트로스는 지속적인 위험에 맞서 용기와 신실함을 보여준 지도자들과 자선 프로젝트 파트너들을 칭찬하며 “주교, 신부, 수사, 수녀 등 그 누구도 이 지역을 떠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과 함께 머물면서 지원과 위로를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라고 했다.

압달라 대주교는 매주 주일은 물론 주중에도 때때로 이 본당을 방문하여 신자들과 만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적절한 수단으로 그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대주교는 지역 교회가 절실한 필요를 충족시킬 자원이 없으며, 전 세계의 동료 신자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를 위해 기도해 달라. 중동에서 일어나는 이 전쟁이 가능한 한 빨리 끝나기를 기도해 달라”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