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무언가를 하려면, "완벽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완벽하게 할 수도 있고, 또 그것이 최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그런 쪽으로 너무 많이 생각해서는 안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완벽에 초점을 맞추면, 우리는 아마도 영어를 완벽하게 구사하기를 바라는 것처럼, 못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구어체(spoken English) 영어를 배울 때 대부분은 그런 경험을 한다.
신학교 시절에 영어를 전공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는 영문법을 완벽하게 하려고 항상 노력했다. 그래서 미국인들과 대화할 때마다 완벽한 문법이 되는 것만을 생각했다. 좀 우스운 얘기지만, 그가 문법을 너무 많이 생각하는 동안 그의 앞에 서 있던 미국 사람은 기다리지 않고 도망쳐버렸다. 과장된 얘기인 것 같은가? 사실이다.
일단 우리가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우리가 그것을 완벽하게 해야 한다고만 생각하게 되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에 집중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것 같다. 인간이라는 제한성 때문에 단번에 완벽하게 할 수는 없다.
리더십에 관한 책들을 보면, 대부분 어떤 것을 시도해보는 데에 있어 완벽함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무언가를 많이 시도해보고, 잘 되는 것을 골라서 하라"는 내용이 종종 있다. 이것이 백퍼센트 맞는 말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
시작은 본인이 결정해야 한다. 이런 경우에 핵심 멤버 두 세 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은 회의적이거나 반대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그랬다. 케냐에 대학 설립을 시작할 때에 주위 사람들이 거의 회의적이었다. 반대하지만 표현은 회의적이고 비관적이었다. 그때에 주저 않았다면 그 일은 해낼 수 없었을 것이다.
일단 시작하는 것이 좋다. 시작해야 진행이 되기 때문이다. 시작을 하고 나니 멈출 수 없게 되었다. 멈출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일단 시작하고 나니 계속해야 한다는 충동을 느끼면서, 계속 진행하게 되었다. 사실 나 자신뿐만 아니라, 이제는 주위 사람들도 그 프로젝트를 계속해야 한다고 독려들 했다. 그렇게 하다 보니 멈출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에너지가 작용하게 되었다. 소위 탄력이 붙게 된 것이다.
그리고 진행 속도에 대해서는 너무 염려할 필요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달리기 경주에도 단거리와 장거리가 있지 않은가! 때로는 단거리 경주자(splinter)처럼, 때로는 장거리 경주자(marathoner)처럼. 즉 때로는 조금 더디게 갈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 진행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완전히 준비하여 시작하기 보다는 일단 시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그리고 그런 방향으로만 계속 진행한다면 좀 더디게 갈 때가 있더라도 결국 그곳에 도착하게 될 것이다. 우리 멜빈대학교가 그렇게 해서 완료되었다. 완전을 추구한 게 아니고 방향이 올바랐기 때문이다.
서병채 목사(케냐 멜빈대학교 총장)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병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