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수업
 도서 「신약 수업」

다양성을 제재하는 통일성은 우리가 성경을 마음대로 생각하고 오독하지 않도록 울타리가 되어 주며, 통일성을 견제하는 다양성은 우리의 믿음이 획일적이지 않고 자기만의 역사를 만들 수 있는 동기를 만들어 줍니다. ‘우리’의 믿음 안에는 ‘나’의 믿음과 ‘너’의 믿음이 함께하기 때문입니다. 성경의 다양성은 삶의 다양성으로 옮겨 가고, 삶의 다양성은 고백의 다양성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고백의 다양성은 ‘너’를 인정하며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게 합니다. 하나님 안에서 말입니다. 다양한 고백을 묶는 출발점에는 바로 하나님이 있습니다. 의외로 단순한 이 사실이 신약성경의 세계관이기도 합니다. 신약성경의 세계관은 다양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역사 안에 있다는 관점입니다.

김호경 – 신약 수업

 

우리 주 예수의 마지막 날들
도서 「우리 주 예수의 마지막 날들」

예수님이 사람들의 반대를 촉발한 첫 번째 이유는 그분의 지상 사역 마지막 주 초반에 예루살렘에 입성한 방식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찬송하리로다, 오는 우리 조상 다윗의 나라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라는 사람들의 외침 속에 나귀를 타고 거룩한 성에 들어가셨습니다(막 11:1-10). 예수님이 이런 방식으로 예루살렘에 입성한 것은, 그로부터 천 년 전 자신의 왕권을 선포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아버지 다윗왕의 노새를 탔던 솔로몬을 의도적으로 모방한 것입니다(왕상 1:32-40). 이는 또한 장차 겸손한 왕이 오실 것이라는 고대 예언에 대한 응답이기도 했습니다(슥 9:9). 문헌학적,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는 한 방향을 가리킵니다. 즉 유대인의 관습에 따라 예수님의 시신이 무덤에 안치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예수님의 가족과 친구들이 예수님의 시신이 어디에 매장되었는지 전혀 몰랐다거나, 결국 그분의 유골을 회수하여 가족무덤이나 명예로운 다른 장소로 이장할 계획이 없었다고 생각할 만한 타당한 이유도 없습니다. 증거에 비추어 볼 때 나는 신약성경 복음서의 매장 내러티브는 공정하게 읽혀야 된다고 믿습니다. 각 복음서의 기록이 일관성이 있고 알려진 문헌학적,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한다면, 그 내용은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크레기그 에번스 & 톰 라이트 – 우리 주 예수의 마지막 날들

포근한 삶
도서 「포근한 삶」

‘하나님의 자녀면 자녀답게 살아야지 못나게, 비겁하게, 추하게, 너절하게 살면 안 되는 거잖아! 빛을 발해야 한다. 또 이 빛을 나눠야 한다. 그리스도의 자녀가 다 함께 성공하도록 성공을 나눠야 한다.’ 지금까지 하나님 자녀로서 정체성 없는 삶을 살다가 말씀을 제대로 읽으면서 비로소 나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돌아보게 되었다. 모두 하나님의 은혜였다. 한때 주님께 “당신이 원하시는 나의 삶은 무엇입니까?” 하며 수개월 동안 질문하고 다닌 적이 있었다. 기도 끝에 얻은 답은 ‘하나님 나라의 총체적 회복’이었다. 내가 할 일은 양모 이불을 도구로 삼아서 하나님 나라의 회복을 위한 사역에 동참할 일꾼을 찾고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다.

호미해 – 포근한 삶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독일보 #기독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