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한국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주로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목데연)는 지난해 9월 21세기교회연구소, 한국교회탐구센터와 함께 전국 만 19세 이상 기독교인 1천 명을 대상으로 ‘기독교인 유형 분류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성격이 다른 신앙 변수, 전통적-현대적, 초월적-현실적, 공동체적-개인적, 권위적-탈권위적을 각각 분류할 수 있는 4~5개의 문항을 제시해 MBTI 성격유형검사에서 E(외향형)-I(내향형)으로 나누듯이 4쌍(8개)의 신앙 차원(전통vs현대, 초월vs현실, 공동체vs개인, 권위vs탈권위)을 만들고, 이를 조합해 궁극적으로 총 16개의 신앙 유형을 도출했다고 한다.

그 결과 전통과 현대적 신앙의 경우 ‘전통적 신앙’이 77%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권위와 탈권위적 신앙에서도 ‘권위적 신앙’이 72%로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초월 신앙’과 ‘현실적 신앙’은 각각 53%, 47%였고, ‘공동체적 신앙’과 ‘개인적 신앙’은 각각 54%, 46%였다.

목데연은 “한국 기독교인의 신앙이 전반적으로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전통적 신앙 유형은 현대적 유형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교회 출석자’, ‘주일예배 매주 참석자’, ‘중직자’, ‘신앙수준 상층’에서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4쌍의 변수를 조합한 16가지 세부 유형을 살펴보면, 먼저 한국 기독교인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1유형은 ‘전통&초월&공동체&권위’로 33%, 즉 3명 중 1명꼴이었다. 2유형은 초월-현실만 다른 ‘전통&현실&공동체&권위’(12%), 3유형은 1유형과 모두 정반대인 ‘현대&현실&개인&탈권위’(11%)였다.

1유형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교회 출석자, 주일예배 매주 참석자, 중직자, 높은 신앙단계, 기독교 가정, 보수 성향을 가진 응답자에서 더 두드러졌다. 반면 3유형은 ‘연령이 낮을수록’, ‘가나안 성도’, ‘비기독교 가정’, ‘낮은 신앙단계’ 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내 삶에서 신앙은 중요하다’는 데 동의한 비율은 87%로 3유형(46%)을 제외한 1,2,4유형은 거의 100%에 가까운 긍정률을 보였다고 한다. ‘나는 영적 성장에 관심이 많다’에도 3유형의 동의율은 30%대에 불과한 데 반해 1,2,4유형은 80~90%대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다.

목데연은 “전체적으로 현대적, 탈권위적 유형층에서 동의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정리했다.

또한 3유형의 경우 신앙 성장의 도움 요인으로 ‘미디어’(35%)와 ‘가족’(23%)을 높게 꼽아 출석교회의 예배·설교(14%)의 영향은 미미했고, ‘미디어’, ‘가족’에 대한 영향 및 의존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목데연은 “한국교회 내 다양한 신앙 유형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교회 안에서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인정함이 선행되지 않으면 이는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성도 간, 성도와 목회자 간 의견을 나눌 때,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 다양성의 차원에서 소통하고, 존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가나안 성도와 젊은 세대가 비교적 많은 3유형(현대&현실&개인&탈권위)의 경우는 신앙 훈련을 위해 미디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고, 2유형(전통&현실&공동체&권위)의 성도에 대해서는 교회 봉사 업무를 독려하여 교회 소속감 등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