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가 기독교 변증가이자 작가인 로빈 슈마허(Robin Schumacher)의 기고글인 ‘무신론자들이 나를 더 나은 기독교인으로 만든 방법’(How atheist have made me a better Christian)을 21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로빈 슈마허는 언론에 많은 기사를 작성하고 여러 기독교 서적을 저술하고 기고했으며 미국 내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는 기독교 변증가이다. 다음은 기고글의 전문.
저의 변증학 및 철학 교수였던 노먼 가이슬러(Norman Geisler) 박사는 독서 시간에 매우 비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는 그 시간을 무신론자들의 글을 연구하는 데 사용했다.
왜 그러냐고 물으면, 그는 "무신론자들이 우리를 정직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곤 했다.
가이슬러 박사의 현대 철학 수업을 들었을 때 손으로 겨우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운 바인더를 받았다. 그 안에는 하나님에 관한 모든 주요 현대 무신론자들의 글이 들어 있었고, 단 한 명의 기독교 작가도 포함되지 않았다.
저의 과제는 바인더에 있는 내용 전부를 읽고 그들의 주장의 강점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내가 신학교에서 들었던 최고의 수업 중 하나였으며, 그 수업이 내게 미친 영향은 오래 지속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왜 성경, 변증학, 그리고 신앙을 세우는 다른 글을 공부하는 대신에 부정적인 신에 관한 생각으로 머리를 채우겠는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 대답은 1) 우리는 먼저 후자를 공부했다 2) 존 스튜어트 밀은 "자신의 입장만 아는 사람은 그 입장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3) 그것은 다른 지식으로는 강화될 수 없는 방식으로 내 신앙을 강하게 만들었다.
어떻게 그 일이 일어났는지 설명하겠다.
신에 대한 질문의 중요성
우선, 무신론자들과 대화하는 것과 내가 "증오론자(hatetheists)"라고 부르는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싶다. 나는 무신론자들과 대화하는 것을 진정으로 좋아하며, 그들이 기독교에 제기하는 잘 생각된 반대 의견을 존중한다. 신학적인 문제에서는 의견이 다르지만, 많은 무신론자들이 존중하며 지적이고, 의견 차이를 이해하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증오론자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2년 전에 쓴 글에서 이 둘의 차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 바가 있는데 무신론자들이 내 신앙을 어떻게 강화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첫 번째로 떠오르는 것은 그들 중 일부가 신에 대한 질문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놀랍게 들리지 않는가?
리처드 도킨스의 말을 들어보면 "저는 유신론의 가설이 과학적 가설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가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주가 실제로 초자연적인 지성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생각은 극적이고 중요한 생각입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이 완전히 바뀔 것입니다. 우리는 완전히 다른 우주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이제 그건 대단한 일입니다. 개인적인 위안과 좋은 이야기보다 더 큰 문제입니다. 우주가 물리 법칙을 발명한 초자연적인 지능이 숨어 있다는 생각은, 만약 사실이라면, 굉장히 굉장한 생각입니다"고 했다. 나는 도킨스의 말이 100% 맞다고 생각한다.
도킨스의 관찰은 오늘날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세계관, 즉 신에 대한 무관심(apatheism)을 산산이 부순다. 신에 대한 질문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비록 그들이 믿지는 않더라도 일부 무신론자들은 이 문제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탐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신이 없는 삶
다음으로, 나는 그들이 신이 없는 삶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그들의 정직함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들은 신 없이 사는 것이 그리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고백한다.
예를 들어, 장 폴 사르트르의 저서인 'Nausea'를 보면 그는 “삶을 아무 의미 없는 무의 바다에 떠 있는 빈 거품”으로 묘사한다. 사람이 이를 용기 있게 받아들이면 그로 인해 병이 나며, 그것이 바로 책 제목의 이유라고 설명한다.
또는 마틴 하이데거를 생각해보면 그는 모든 인간이 독일어로 "Unheimlichkeit(섬뜩함)"라는 감정으로 특징지어진다고 말했다. 이는 모두가 느끼는 기이함, 즉 집이 없는 것 같은 느낌, 소외감, 그리고 깊은 고독을 의미한다. 목적 없는 세계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알베르 카뮈는 그의 소설인 'The Falls'에서 "아름다움은 견딜 수 없고, 우리를 절망하게 하며, 한순간 영원을 엿볼 수 있는 희망을 준다. 하지만 신이 없고, 주인이 없는 사람에게는 하루하루가 끔찍하게 무겁다"고 말한다.
신이 없으면 "하루하루의 무게가 끔찍하다" 이것은 받아들이기 힘든 진실이지만, 창조주가 없으면 우리에게 진정한 목적을 줄 수 없기 때문에 그의 말이 맞다. 버트런드 러셀은 "굴복할 수 없는 절망의 단단한 토대 위에서만 영혼의 거처가 안전하게 지어질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절대적 도덕은 신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상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도덕적으로 어떻게 행동하고, 살아야 하는지 말한 적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리석은 일이 된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의견으로 전락해버리기 때문이다. 창조주가 없다면, 절대적인 도덕적 기준에 따라 삶을 인도할 프레임워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여러 무신론자들이 인정한 사실이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당신에게는 당신의 방식이 있고, 나에게는 나의 방식이 있다. 그리고 옳은 방식, 정확한 방식, 유일한 방식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리처드 도킨스를 다시 들어보자. 그는 “삶에는 설계도, 목적도, 악도 선도 없으며, 오직 맹목적이고 무자비한 무관심만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절대적인 도덕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기를 재미로 잔인하게 고문하는 것, 인종차별, 강간 같은 행위가 상황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면 말이다.
무신론 철학자 루이즈 앤토니는 절대적인 도덕적 가치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다고 인정한다. 그는 “도덕적 가치의 객관적 현실을 부정하려는 모든 논증은 그 존재보다 덜 명백한 전제에 기초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무신론 철학자인 J. L. 매키는 “자연적인 것 위에 초자연적인 절대적인 규범적 특징들이 자리 잡는다는 것은 너무 기이한 성질과 관계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능한 신이 그것을 창조하지 않고서는 그것들이 보통의 사건 진행 과정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나는 그가 뭔가 중요한 걸 짚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신을 거부하는 이유
마지막으로, 일부 무신론자들이 창조주 개념을 거부하는 이유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그들은 창조주를 거부하는 것이 지적 문제, 성경의 모순, 악의 문제와 관련이 없음을 솔직하게 인정한다.
그들은 단지 신이 존재하지 않기를 원할 뿐이다.
예를 들어, 토마스 네이젤은 이렇게 썼다. 그는 “나는 무신론이 사실이기를 바라고 있으며, 내가 아는 가장 지적이고 정보가 풍부한 사람들이 종교적 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는 사실이 불편하다. 내가 단지 신을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내가 옳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나는 신이 없기를 바란다! 나는 신이 존재하지 않기를 바란다. 나는 우주가 그런 식으로 존재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했다.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자신을 무신론자가 아닌 ‘반신론자’라고 선언하기까지 했다. 그는 신의 존재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히친스에 따르면 “나는 단순히 무신론자가 아니다. 나는 반신론자다. 나는 일부 감상적인 물질주의자들이 바라는 대로 그들이 옳기를 바라지 않는다. 나는 그 모든 이야기가 음산한 동화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신자들이 믿는 것이 사실이라면, 삶은 비참했을 것이다. 나는 그것보다 더 끔찍하고 기괴한 것을 상상할 수 없다”고 했다.
그리고 알도스 헉슬리는 이렇게 썼다. 그는 신이 우리의 스타일을 제한한다는 생각을 반영하며 “우리는 (기독교적) 도덕성을 반대했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의 성적 자유를 방해했기 때문이다”고 했다.
나는 계속 이어갈 수 있지만, 내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아마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무신론자들이 성경의 내용을 부인하면서도, 그들은 성경이 선언한 것을 그대로 인정하며, 신이 없는 삶이 얼마나 혼란스러운지 고백한다는 사실이다.
현대 철학 수업을 끝낼 무렵, 나는 방대한 무신론자들의 글 모음집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면서 “이게 그들이 가진 최고의 논리인가?”라고 생각했던 것이 기억난다. 변증학과 논리학에 대한 나의 이전 교육 덕분에 (이 과정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무신론적 논리를 깊이 파고들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수적이다), 그들의 논리는 내 신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내 신앙을 더욱 강화시켰다. 왜냐하면 그들은 많은 진리를 인정했고, 삶의 큰 질문들에 대한 진정한 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고백했기 때문이다.
결국, 그들의 신에 대한 반대는 성경이 말하는 바를 확고히 내게 전달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