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서울-인천 제4차 로잔대회’
김병연 박사가 저녁집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제4차 로잔대회 한국준비위원회

‘핍박과 선교’를 주제로 진행된 ‘2024 서울-인천 제4차 로잔대회’ 넷째 날(25일) 저녁에는 북한 전문가인 김병연 서울대 교수가 북한 상황을 보고하고 기도제목을 나누며 함께 억압 속에서 고통받는 북한 주민들과 통일을 위해 기도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북한 사람들의 고난에 대한 이해’라는 제목으로 강연한 김 교수는 “북한은 2,5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사회주의 국가로, 1인당 소득이 1,000달러 미만인 세계 최빈국 중 하나”라며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에 주민들의 시장 활동을 묵인하는 정책을 시행했지만, 핵 개발로 인해 경제 성장은 제한적이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2013년 김정은은 핵무기와 경제의 병진 발전 정책을 발표했고, 2016~2017년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으로 인한 UN 안보리의 경제 제재로 북한 경제는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는 북한의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에도 큰 타격을 주었고 국제 사회의 제재로 인해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북한의 경제 상황이 악화된 원인에는 코로나 팬데믹과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실패를 들었다. 김 교수는 “2020년 초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의 무역과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라며 “2017년부터 2023년 사이 주민들의 소득이 약 절반으로 감소했으며,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14~2016년 49달러에서 2017~2019년 37달러로 하락했다. 현재 북한 주민들은 UN 권장 칼로리의 약 80%만 섭취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식사 횟수를 줄이거나 쌀 대신 옥수수를 먹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또한 “2017년부터 2023년 사이 국민총생산은 약 2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 당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사관 재개설과 국제 원조단체 활동 재개를 허용하지 않아 주민들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더해 “김정은은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실패 이후 내부 통제와 사상 무장을 강화해, 주민들의 시장 활동을 단속하고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 회귀하는 정책으로 주민의 경제생활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남한에 대한 적대적 태도도 강화했다. 김 교수는 “북한은 2020년부터 남한식 언어 사용과 남한 문화 접촉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해 심각한 경우 사형까지 가능하게 됐고, 2024년 초에는 남북통일을 부정하고 남북 관계를 적대적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북한 주민들의 일상과 인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남북 관계 악화와 한반도 긴장 고조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북한이 2023년부터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올해 6월,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으로 북러 조약이 체결됐는데, 이 조약은 상호 군사 지원을 약속하고 있어 한반도 문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연계될 위험이 있다. 한반도는 이미 미중 경쟁의 영향을 받고 있었는데, 이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도 얽히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김병연 교수는 이러한 상황이 한반도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김 교수는 “이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을 증가시키고 국제 정세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며 “북한의 대러시아 무기 공급과 군사 동맹 강화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남한 국민의 통일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증가하여 향후 남북관계와 통일 정책에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2023년 남한 국민의 44%만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15년 전보다 20% 감소한 수치라며 “이러한 변화는 젊은 세대의 북한에 대한 관심 감소와 북한 정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또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15년 전 50% 이상에서 현재 30%로 하락한 것은 “민족 정체성보다 실용적 관점에서 통일을 바라보는 경향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남북 관계와 통일 정책에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남한에 온 3만 명의 북한이탈주민의 50~60%가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고, 많은 남한교회가 통일선교부를 운영하며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사역과 통일, 북한 주민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며 ①한반도의 평화를 위해(남북한이 화해와 평화 속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개척할 수 있도록) ②북한의 핵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③북한 주민들의 경제적 고통이 하루빨리 종식되고, 정부의 억압 없이 자유로운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④북한 주민들의 정치적 자유와 인권 증진을 위해 ⑤남북 이산가족의 상봉 기회가 빨리 올 수 있도록 ⑥이러한 기도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그리고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를 요청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4차로잔대회 #김병연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