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인권여성연합 정책 포럼
현숙경 교수 ©기독일보 DB

한국성과학연구협회(회장 민성길, 이하 성과연)가 20일 서울역 AREX에서 4월 월례강좌를 개최했다. 이날 현숙경 교수(침신대)가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라는 제목으로 강의했다.

현 교수는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 두 개의 사상적 줄기가 있다. 그 시작점은 마르크스다. 마르크스는 소수 자본가 계급(부르주아지)이 노동자 계급(프롤레타리아)을 대상으로 잉여 생산물을 착취하고, 사적 소유함으로 계급 갈등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며 "그는 절대적 평등사회를 위해 노동자 계급의 혁명을 부추겨 자본주의 구조를 전복하고, 모든 생산 결과물을 동등하게 나눠야 한다고 했다"고 했다.

이어 "마르크스는 계급 혁명을 위해 폭력도 정당화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20세기 초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구소련 스탈린이 2,500만, 중국 모택동이 6,500만, 북한 김일성이 200만 명을 학살하는 등 전 세계 총 1억 명이 공산주의로 집단학살 당했다"며 "마르크스주의는 가족과 기독교를 자본주의의 지탱 요소로 보고, 사회 계급투쟁에 방해가 된다며 속히 붕괴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했다.

현 교수는 "마르크스는 종교를 '인민의 아편'이라며, 계급혁명의 성공을 위해 서구사회 가치관의 근간인 기독교를 필연적으로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그 결과, 가정과 종교 해체의 주된 방법으로 성해방을 주장했다. 왜냐하면 종교와 가정이 성을 억압하는 기제로 작동한다고 봤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1920년대부터 프랑크푸르트 연구소가 주창한 네오맑시즘은 폭력적 투쟁을 통해 사회구조 변혁을 꾀한 마르크스 이론과 달리, 기존 전통 가치관에 대항한 세계관과 신념을 사회문화 전반에 침전시켜 사회구조 변화를 서서히 꾀하자고 주장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 맑시즘이라고 불리며, 1960년대부터 대두된 페미니즘도 그 중 하나"라고 했다.

특히 "당시 대표적 페미니스트로 케이트 밀렛은 자신의 저서 '성의 정치학'(1969)에서 ‘여성억압의 뿌리는 가부장제에 깊이 박혀 있고, 남·녀 관계 권력과 지배의 관계로 이해돼야 한다며, 가부장제에 의한 남성 지배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임신은 야만적'이라며 남녀 평등을 위해 임신과 출산의 압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물학적 가족은 여성을 갇히게 하는 장치라서, 노골적으로 가족 해체를 주장했다. 그녀의 최종 목표는 '성별 차이의 제거'였다"고 했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현숙경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한국성과학연구협회

현 교수는 "이런 페미니즘은 1960년대 대학가를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당시 68혁명과 맞물려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을 낳고 사회 전반에 빠른 속도로 침투하기 시작했다"며 "이후 1970년대 초 미국에서 결혼한 부부 중 절반이 이혼으로 결별했고, 73년은 낙태가 합법화됐으며, 60년까지 5% 미만이던 혼외 출산율이 60년대 후반부터 급증해 2010년은 40%에 육박했다"고 했다.

또한 "1952년 국제가족계획연맹이 창설돼, 제3세계 여성들의 낙태와 피임을 조장했다. 1966년, 해당 단체의 재정지원으로 대한민국은 단기간 내 인구억제정책에 대해서 유래없는 성과를 이뤘다. 하지만 출산율은 4.52(1970년)에서 0.92(2019년)로 급감했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이라는 오명을 대한민국이 쓰게 됐다”며 “이대로 가면 2075년엔 국가가 없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고 했다.

그녀는 "1995년 베이징 제4차 UN 여성대회에서 처음 젠더 평등 용어를 사용하고, 성주류화 정책의 일환으로 성인지 예산 시행을 제시했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게 차별받는다’는 시각으로 사회 제도 전반을 바라보고, 이를 기초로 한 절대적인 남녀평등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라며 "여기에 영향을 받고 2001년 출범한 여성가족부(여가부)는 2010년부터 성인지 예산을 편성했다"고 했다.

이어 "해당 제도는 성별 불평등을 인지하는 감수성을 기르자는 취지로 시작했지만, 여성 편향성·남성에 대한 역차별 등이 우려되고 감수성이란 단어는 매우 주관적이라서 남용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 성인지 정책은 모든 정책과 법령을 페미니즘 시각으로 검열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라며 "2020년 여가부 장관은 나다움 어린이책에 대해 '어린 시절부터 일상 속에서 다양성을 존중하고 성인지 감수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책', 그해 11월 '2021년 4월 서울, 부산시장 보궐선거는 성인지 감수성을 집단 학습할 기회' 등의 발언을 해 질타를 받았다"고 했다.

현 교수는 "성인지 감수성 정책의 근간인 페미니즘은 여성의 권리만 강조하고, 재생산권을 내세워 태아 인권은 소외시켜 낙태를 조장한다. 양성평등의 가면을 쓴 여성우월주의라서 남성 인권은 무시된다"며 "또한 ‘모든 여성은 피해자, 모든 남성은 가해자’로 규정하며 피해자 담론을 무기삼아 권력을 휘두른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녀의 기질적 차이를 무시한 채 결과적 평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여성할당제, 동일임금·채용 등이 있다"며 “(하지만)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 다수인 교육계, 남성이 주를 이루는 3D 업종의 성차별에 대해선 침묵하는 이중성을 보인다”고 했다.

특히 "소방관, 경찰관 채용에 여성의 채용 비율을 높이라는 동일채용 주장도 문제다. 체력적으로 여성이 남성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데도, 성별 할당제 비율을 맞추기 위해 남성 지원자의 체력 기준을 여성보다 훨씬 높게 책정하는 일도 생겼다”며 “결국 동일채용 요구는 분야의 특수성을 무시한 결과주의적 평등이라는 점에서 문제"라고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숙경 #페미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