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권 박사
정일권 박사 ©주최 측 제공

서울대 노아팀(NCA)과 인권윤리포럼 후원으로 노아세계관강연회가 최근 서울대에서 열렸다. 앞서 서울대 다양성위원회는 오는 20~24일 SNU Cultural Diversity Week를 실시하고 ‘다양성 이슈화(Diversity Matters)’를 대대적으로 홍보할 예정인데, 이에 대해 노아세계관강연회 측은 다양성을 빌미로 젠더 이슈를 부각한 행사라고 비판했다.

주최 측은 “미국 등 서구에서 추진되어 온 DEI(Deiversity 다양성, Equity 형평성, Inclusion 포용성) 정책은 원래 보편적 인권윤리에서 벗어나서 동성애 성혁명 운동으로 변질된 것”이라며 “향후 강력한 DEI운동의 여파로 서울대 등 각 대학의 다양성(포용성)위원회를 중심으로 양성평등의 성경적 가치관에 반하는 ‘양성해체 젠더정책이 규범화될 수도 있어 적합한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정일권 박사(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 신학박사)는 이날 ‘DEI 정책의 문제점’이라는 제목의 강의에서 “DEI 정책은 비판적 인종이론(CRT, Critical Race Theory)으로 귀결되고 있다”며 “DEI는 일종의 인종 막시즘, 즉 마오이즘과 독일 나치즘과 유사한 정치운동”이라고 했다.

이어 “즉 흑인, 무슬림, 동성애자, 하마스를 지지하고 백인서구문명을 타도하는 반능력주의”라며 “DEI 정책은 다양성을 주장하나 실상은 반자유주의이며 형평성을 표방하나 실제는 사회주의적 결과 평등을 지향하며 포용성을 내세우나 오히려 사회적 역차별을 초래한다”고 했다.

특히 “DEI 정책은 학문과 신앙의 자유를 침해하고 특정 집단이나 계층을 위한 편협한 역차별을 조장하며 배타적 인종주의를 조장하고 선동한다”며 “서구 사회는 이러한 DEI 정책을 재고하거나 폐지하는 운동을 시작하고 있다. 미국 대법원은 2023년에 그간 수십 년 동안 존속돼 온 DEI 정책의 근간이 Affirmative Action(적극적 우대조치)를 위헌으로 판결하고 8개주 에서 DEI 정책을 폐지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마당에 국내 대학에서 다양성을 명분으로 이러한 인종주의적 DEI 정책을 펴는 것은 서구 사회가 겪고 있는 사회적 혼란과 극심한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올해 각 대학 다양성위원회를 중심으로 DEI 정책을 확대해서 종전의 서울대 인권헌장 등 차별금지법 제정를 재점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리 공론화하여 대처해야 한다.(신문 등 기고문, 논평, 포럼 등)” “그리고 다양성을 명분으로 DEI 정책중 성정체성이나 성적 지향 등 성해체 젠더주의를 내포하는 용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학생들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계몽할 필요가 절실하다” “또한 각 대학이나 기업에서 DEI 정책을 법제화하거나 규범화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폐해를 모아서 법적 대응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왔다.

이와 함께 권요한 박사(인권윤리포럼 운영위원장)는 향후 다양성을 명분으로 DEI 정책중 성정체성이나 성적 지향 등 성해체 젠더주의를 내포하는 용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학교구성원들과 학생들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계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나아가 서울대 노아팀에서는 대학이나 기업에서 동성애 DEI 정책을 법제화하거나 규범화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폐해를 모아서 법적 대응을 준비하기로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아팀 #DEI #정책 #인권윤리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