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전역을 추위에 떨게 하는 입시 철이다. 청소년기에 진로의 선택을 놓고 방황을 많이 했더니 우리나라 입시제도를 모두 경험해 보았다. 학력고사로 시작하여 본고사와 수능을 거쳤다. 그러다 보니 입시 철만 되면 할 말이 많은 사람이 되어버렸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들어가는 이 시기가 우리 청소년들의 가장 중요한 인생길의 시작이 된다.
언제부턴가 청소년들에게 꿈이 무엇이냐고 묻지 않는다. 꿈을 물으면 “꿈이 없어요”라고 대답할까 봐 두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거꾸로 물어본다. 무엇을 하고 싶냐고? 그러면 청소년들은 쭈뼛거리며 자신이 가지고 싶은 직업을 말한다. 왜 하고 싶은 일이 아니고 가지고 싶은 직업이라고 대답하냐면, 청소년은 직업을 물건을 고르고 사는 것처럼 선택하는 것이라고 많이들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답을 듣고 나서 “원하는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물어 스스로가 이룰 수 있는 계획을 짜보게 한다. 여기에 청소년이 놓치기 쉬운 교육과정이나 자격증 정보들을 추가시켜주는 정도의 도움만을 준다. 그러면 막연하던 직업들이 그들에게 현실로 다가온다. ‘내가 할 수가 있을까?’ 이쯤에서 아이들과 구체적인 상담에 들어간다. ‘이 직업을 가지고 싶은 이유가 무엇인지?’ ‘이 직업을 통해 자신에게 어떤 만족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돌아보게 한다. 청소년들은 직업을 가지면 끝이라고 생각했다가 당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쩌면 세상이 너무 빠르게 돌아가기 때문에 먼 미래를 미리 생각하는 것이 어리석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꿈을 묻는 것은 그 사람의 삶의 방향과 가치관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어린 시절 읽었던 위인전의 한 페이지로서 자신의 꿈이 시작되거나, 아니면 방송이나 다른 방법으로 직업에 관심을 가졌을 수 있지만, 결국 꿈은 사람마다 그 안에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향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인생을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이 길에서 벗어났을 때 돌아올 수 있는 용기와 힘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을 잊고 직업을, 심지어 직장을 꿈이라 착각하고 사는 것이다. 직업을 가진 다음에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없다.
지인 중에 열심히 살고 있어 보기 좋다고 생각하던 젊은 약사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이분은 30대 초반에 강남에 아파트를 가지고 부부가 각각 약국을 운영하며 예쁜 딸을 키우고 있다. 남부러울 필요가 없는 삶이지만 여기까지가 자신의 꿈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젠 무엇을 바라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그래서 삶이 의욕이 없다고 했다.
이처럼 사람들이 꿈을 좋은 직업을 갖는 것으로 생각하다 보니 직업을 이루고 나면 방황하거나 문제가 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신문 지상을 장식하는 많은 유명연예인, 스포츠선수, 판검사, 의사 등등 소위 청소년들이 꿈꾸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동경의 대상인데도 일탈의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너무 눈에 보이는 가치로 자신의 삶을 정하도록 지도하고 있었다. 이제는 청소년들에게 꿈은 꿀 수 있게 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앞으로 살아갈 인생의 길을 정하는 꿈을 꾸게 해야 한다. 꿈은 눈에 보이게 이루어내는 목표지향적인 것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고 그 방향 안에 목표들을 세우고 그 목표를 위해 매진하고 목표가 이루어지면 또 다른 목표를 세워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꾸어 가는 것이라 지도해야 한다. 그렇게 한 걸음 한 걸음 가다 보면 자신이 꿈꾸었던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그런 삶을 살 때 꿈도 이루고 행복한 인생도 될 수 있는 것이다.
노은영 작가(사회복지학 석사, 청소년 코칭전문가)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