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문화] 영화 '시스터 액트'에서 검은 수녀복을 입고 느린 템포로 경건하게 'I will follow him'을 찬양하던 수녀들이 갑자기 반전을 보여준다. 앉아서 피아노를 치던 수녀가 갑자기 일어서서 피아노를 두들기기 시작하고 수녀들은 얼굴에 활기찬 미소를 띄고 'I love him, I love him, I love him'을 템버린을 두드리며, 몸을 움직이며 찬양하기 시작한다.
한국교회에도 2000년대 초반 영화 '시스터 액트'의 이들처럼 찬양하는 이들이 등장했다. 2003년 '믿음의 유산'이란 이름으로 시작해 2006년 대중음악계로도 진출하며 '헤리티지'(Heritage)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5인조 블랙가스펠그룹이 그들이다.
한국교회에 신선한 '반전'을 보여준 헤리티지가 지난 2년간 재정비의 시간을 갖고 7월부터 다시 정기예배를 시작했다. 매달 첫째주 주일, 7월에는 2일 오후 7시 서울 중구 신당동에 있는 예수마을교회 공감홀에서 진행했다.
지난 20일 기독일보는 헤리티지 사무실에서 헤리티지와 인터뷰를 갖고 다시 시작한 정기예배 전후 시간에 관해서 들어 보았다. 인터뷰를 하며 헤리티지만의 진지한 고민들도 들을 수 있었다. 진지하지만 헤리티지답게 유쾌하게 인터뷰는 진행됐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中)
- 헤리티지라고 이름을 지은 이유.
▶효식: 처음에 노래선교단이라는 이름이 촌스럽잖아요.(웃음) '노선단'이었다. 노선단은 특이한 찬양 부르는 팀이었다. 노래선교단이 노래 선교하는 팀이니까 밖으로 나가야 되는데 이름이 너무 쎄서 이름을 좀 멋있게 지어보자 해서 정 대표님(당시 정성복 대표)이 지은 이름이 믿음의 유산이었다. 한글 이름이 '믿음의 유산'이었는데 이름에 담겨 있는 뜻은 믿음의 유업을 세상에 찬양으로 남기자는 뜻이었다. 그래서 영어로는 'Heritage of faith' 였다. 그때 2006년도에 대중음반을 내면서 본격적으로 세상으로 음악을 들고 가자 했을 때 좀 길다 해서 헤리티지(Heritage)만 가지고 가서 팀명을 좀 바꿨다. 참 잘한 것 같다. (웃음)
▶철규: 믿음의 유산이라는 이름이 종교적 색채가 있기도 하다.
- 멤버분들이 생각하는 ‘거룩’이란.
▶희영: 얼마 전에 저희 팀 멤버 카톡방에 제가 거룩과 관련한 신학자의 말을 올렸었다. 존 브라운이라는 19세기 스코틀랜드 신학자이다.
"거룩은 신비적인 사색이나 열렬한 열정이나 강요 받지 않은 금욕생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거룩은 하나님이 생각하시는 것처럼 생각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말을 보면서 일상에서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 늘 항상 어떻게 하나님이 나의 삶에 계속 계시고 이끌어 주시는 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삶에서의 거룩이 아닐까 싶어요.
그것들이 예배함의 제일 근본인 것 같다. 질문 중에 예배 시에 정말 자유롭게 성령 안에서 예배하는 모습에 많은 은혜가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게 사실은 갑자기 예배를 한다 그래서 신나게 예배를 하고 퍼포먼스가 나오고 그런건 아닌 것 같다.
저 같은 경우는 삶에서 주님을 즐거워하라는 그걸 좋아한다. 주님을 즐거워하는 것. 그게 사실은 저의 예배함의 거룩함에 대한 베이직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예배 때도) 혼자서 웃고 그런다.
- 헤리티지가 믿음의 유산으로 데뷔하며 블랙 가스펠을 처음 한국에 소개했다. 어렵게 배웠다고 들었는데 어려운 장르인데도 불구하고 소개하고 싶었던 이유.
▶철규: 제가 느끼는 블랙 가스펠은 음악적인 부분에서 한국의 CCM곡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다. 보컬적인 부분도 가지고 있는 음역대를 다 써야 된다. 그래서 결절도 걸리고...
한국 CCM은 다 회중찬양이 주가 된다. 교회에서 같이 찬양해야 되니까. 흑인들 사이에서는 이것이 회중찬양인데 한국에서는 매니아적인 음악적 성향을 띠고 있다.
하지만 저희가 사역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사명은 이것이 우리 안에서 회중찬양이 되고 음악적인 역량도 한 차원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음악 하는 이 팀이 자랑스러운 부분이 있다.
▶신희: 제가 생각하는 저희 팀의 비전이기도 한데, 제 딸이 초등학교 4학년이다. 그야말로 다음 세대이고 이들이 잘 자라야지 주님의 세대가 되는 건데 늘 그들을 보면서 이들이 정말 주님 안에서 자유롭게 예배하고 주님 앞에 엎드러지게 할 수 있는 그런 게 뭘까를 우리로서는 고민을 해야 되잖아요. 지금의 세대를 사는 사람들로서.
근데 그냥 우연찮게 연락이 오고 하는 학생들이나 어린 친구들이 "선생님, 교회에서 헤리티지 곡으로 저희들 블랙가스펠 찬양팀 만들어서 예배하고 있어요" 그런 얘기들을 옛날에는 간간이 들었었는데 요즘에는 너무 많은 교회에서 어린 청년들이 시도를 하고 중고등학생들이 블랙가스펠로 찬양하는 걸 봐서 우리가 가스펠을 하는 이유가 하나의 멋있는 장르가 아닌, 정말 우리와 또 다른 다음 세대들이 자유롭게 주님을 찾을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우리에게 덧입히신 소명이고 하나의 자부심이기도 하다.
나중에 '키즈콰이어' 이런 것도 하고 싶다. (멤버들)여기 자녀들도 다 있기 때문에 그들이 자라서 엄마, 아빠가 가스펠을 하는 것을 계속 봐왔으니 그런 것들도 꿈꾸게 된다. 아까도 리더님이 얘기해주셨지만 아들이 헤리티지가 찬양하는 모습을 보고 계속 춤추고 그런다. 그것 보면서 물론 아이들이 무엇을 알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 안에 분명히 심겨지는 게 있겠구나 하는 소망이 있다.
효식: 제가 처음에 블랙가스펠 예배를 한국에 있는 미군 부대 안에서 흑인분들이 모여서 드리는 채플때 초청받아서 한번 드렸었다. 근데 너무 충격을 받았다. 그때까지 저희는 블랙가스펠을 음악으로 대했다. 음악적인 매력이 참 많으니까. 소위 말하는 R&B, 재즈, 힙합이 다 녹아있는 음악적인 매력이 많아서 음악적으로 뭔가 도전해보고 싶고 새로운 음악을 표현한다는 게 좋았다.
근데 처음으로 흑인들이 모여서 예배를 하는 현장에 갔는데 이 사람들은 음악을 연주한다는 느낌이 아니라 그 음악을 예배하는데 자유롭게 사용하더라. 거기서 너무 자유가 느껴져서 저도 모르게 무슨 말 하는지 못 알아들었는데 근데 막 울었다. 그때 감정이 좀 격했을 수도 있고 제가 해석하기로는 성령께서 저를 안아주시는 기분은 들었다.
그때 제가 느꼈던 게 블랙가스펠을 단순하게 음악적인 부분으로만 해석하면 늘 우리가 뭔가 목표를 달성해야 되고 음악적으로 표현해야 되는 부담감이 있는 어려운 장르인데 이분들이 삶에서 그냥 막 연주하면서 표현하는 블랙가스펠이 예배가 되니까 너무 자유로워졌다. 그리고 그 안에서 제가 느꼈던 블랙가스펠 찬양 가운데 제일 좋았던 점 하나는 축제 같은 음악이었다.
사실 한국에서 오랫동안 예배하면서 느껴보지 못했던... 한국은 좀 엄숙한 편이잖아요. 요새 물론 찬양은 다르긴 하지만. 예배음악 그러면 굉장히 엄숙하고 잔잔하고 그런 게 있어서 사람이 뭔가 다소곳하게 되는 조심스럽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 저도 모르게 묶이더라. 그런 찬양할 때는.
물론 저한테 주는 감동이 있는데 블랙가스펠로 하나님을 향한 감사와 혹은 복음으로 인한 자유함, 간절함 이런 것들을 음악으로 마음껏 표현했을 때 묶여있는 게 자유케 되는 그런 느낌이 있었다.
그때 제가 무릎을 딱 쳤다. 블랙가스펠이 우리한테 줄 수 있는 기쁨이 '예배'였다는 것을 깨닫고 그때 제 마음 속에 우리나라에서도 이렇게 예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었다.<계속>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