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한경연 제공
다수의 청년 구직자들이 적극적으로 취업활동을 하지 않고 사실상 구직을 단념한 상태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전국 4년제 대학 3~4학년 재학생 및 졸업생 27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65.3%는 사실상 구직 단념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구직단념 비중은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거의 안 함'(33.7%), '의례적으로 하고 있음'(23.2%), '쉬고 있음'(8.4%)을 합한 수치이다. 반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9.6%에 불과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서'(64.9%)를 가장 많이 답했다. 이어서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부족해서(10.7%)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7.6%) ▲적합한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부족해서(4.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기타(9.6%) 의견으로는 대부분 '진로 미확정'이라고 답했다.

한경연은 "청년들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취업경쟁 속에서 스스로의 취업 가능성을 낮게 진단하고 구직 자신감을 잃고 있다"며 "이는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늦추고 미래의 성장 동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학생 58.6%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작년보다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는 '작년과 비슷'(21.3%)의 2.8배, '작년보다 좋다'(2.0%)의 29.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취업난이도를 반기별로 비교해보면 대학생 42.7%는 올해 하반기 취업환경이 상반기보다도 더욱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상반기보다 좋다'고 응답한 비중은 2.6%에 불과했다.

한경연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실물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취업시장 한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취업준비과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채용기회 감소로 인한 입사경쟁 심화'(29.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23.9%) ▲불안함, 우울함, 자존감 하락 등 심리적 위축 가중(18.2%) ▲단기 일자리 감소 등 취업준비의 경제적 부담 증가(16.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평균 6.2회 입사지원 했는데, 이 중 서류전형 합격횟수는 평균 1.6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이 평균 25.8%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서류합격률은 25.8%에 그치는데, 그 이후 필기시험, 면접 등의 단계를 거칠수록 합격률이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취업문은 매우 좁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대학생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은 ▲공기업(18.3%) ▲대기업(17.9%) ▲정부(공무원)(17.3%) ▲중견기업(17.1%) ▲중소기업(11.9%) ▲외국계기업(8.6%) ▲금융기관(3.4%) 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실제로 취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은 ▲중소기업(30.1%) ▲중견기업(20.9%) ▲정부(공무원)(15.2%) ▲공기업(10.7%) ▲대기업(7.2%) ▲외국계기업(4.4%)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중소기업의 취업 예상 비중이 5.1%포인트 올라 가장 크게 증가했고, 공기업은 5.3%포인트 떨어져 가장 크게 감소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좁아지는 취업문 속에서 대다수의 청년들이 자신감을 잃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며 "기업규제 완화, 노동유연성 제고 등으로 기업들의 고용여력을 확충하는 것이 근본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