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서창원 원장)이 23일 오전 9시 30분 ‘19세기 위대한 전도자, 설교자인 존 케네디 박사의 생애와 사역’이라는 주제로 제35기 온라인 정기세미나 둘째 날 일정을 진행했다. 세미나는 오는 24일까지 진행된다.
둘째 날 제2강의에서 윌리엄 맥클라우드 목사는 ‘존 케네디 박사의 경험적인 기독교’라는 제목으로 발표했으며, 서창원 교수(총신대 신대원 역사신학)가 통역을 했다.
윌리엄 목사는 “성도는 어떤 사람인가. 많은 사람이 모슬렘이나 힌두교 혹은 다른 종교의 나라가 아니라 기독교 국가에서 태어났다면 기독교인으로 간주한다. 다른 사람들은 교회에 출석하거나 교회와 관련이 있는 사람을 기독교인으로 여긴다. 어떤 사람들은 어떤 사실들을 믿는 자들을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한다. 즉 성도는 성육신, 그리스도의 죽으심, 그의 부활, 승천 그리고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좌정해 계신 그리스도를 믿어야만 한다”며 “다른 사람들은 여기에다 선한 행실을 하는 자여야만 한다고 말한다. 이 모든 것들에 여러분이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당신이 참 성경적인 그리스도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 우리는 모두 죄인들로 태어났다. 우리 모두는 회개해야 하고 돌이켜야만 한다. 예수를 믿어 구원을 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그것은 이제 겨우 기독교인의 삶을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로부터 우리는 매일 새롭게 회개하고 예수를 믿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라며 “우리는 매일 죄에 죽는 자여야 한다. 그리고 성령 안에서 동행하는 것을 구해야 하며 날마다 하나님을 위해 사는 자가 되어야 한다. 기독교는 본질적으로 그리스도와 더불어 살아있는 관계이다. 단순히 신조들이나 계명을 지키는 정도가 아니라 특별히 예수와 함께 사랑의 관계에 있어야 하고 그와 더불어 동행하는 자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산상 수훈 마지막 부분에서 경고하신 말씀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자기 점검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라며 “존 케네디 목사는 이 문제를 매우 진지하게 생각했다. 그는 사람들이 자기 점검 훈련을 잘 감당할 수 있기를 원했다”고 했다.
그는 “하나님의 택함을 받아 영원토록 그와 함께 있게 될 것을 아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그런데 그걸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며 “우선, 여러분의 부르심을 분명히 하라. 여러분이 효과적으로 부름을 받은 자임을 확실히 해야 한다. 모든 택자들은 결과적으로 회심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우리가 택함을 받은 자라는 유일한 증거는 우리가 효과적으로 부름을 받았다는 것이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은 응답이 되어졌다. 그것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이런 관계 속에 들어서 있는 자인지, 이 새롭고 살아있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자인지 우리 마음을 늘 살펴야만 한다”며 “우리 모두는 영적으로 다 죽은 자로 태어났다. 그리하여 새로운 탄생 혹은 영적인 부활이 필요한 자들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성령께서 우리 마음에 들어오심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케네디 목사가 쓴 첫 번째 책은 하일랜드 교회 역사를 다룬 1861년에 출판된 〈로스 주의 선조들의 날들〉이다. 하일랜드는 케네디 목사가 살았던 스코틀랜드의 북쪽 지방”이라며 “그 다음에 1866년에 그는 이전 세대의 하일랜드 목사인 페린토쉬의 존 맥도날드 목사의 전기를 다룬 〈북쪽의 사도〉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저서들을 출판한 목적은 참 그리스도인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다 추구해야 하는 경험적인 기독교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하일랜드 사람들에게 그들의 기독교 신앙 유산에 깊이 감사하도록 격려하고자함이었다. 그리고 남부 지방의 사람들처럼 자유주의 흐름을 따라가지 말게 하고자 함이었다”고 했다.
먼저, ‘로스 주의 선조의 날들(The Days of the Fathers in Ross-shire)’을 살펴보자. 윌리엄 목사는 “영국은 어려 주(州)들 혹은 군(郡)들로 나눠진다. 각 주나 군은 지방의회에 의하여 행정이 운영된다. 케네디 목사가 사역한 딩월과 그의 부친이 사역한 녹베인(Knockbain)은 로스 주에 있다. 그는 로스 주의 지난 100여 년의 역사를 더듬어 살폈다”며 “부흥과 영적인 활력들과 경건 생활로 특징짓는 그 복된 날들의 기독교가 어떠했는지를 우리에게 잘 묘사해주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제일 장은 ‘로스 주에서 복음’인데 이 지역의 하일랜드 교회를 다루고 있다. 종교개혁 시대로부터 초기 교회 모습부터 황금기 시대에 이르는 교회를 다루고 있다. 이 장에서 케네디 목사는 하일랜드 기독교와 로오랜드(Lowland) 복음주의 사이를 구분한다”며 “케네디 목사는 그의 첫 장을 진술한 후에 그의 사례를 그다음 ‘로스 주의 목사들’, ‘로스 주의 사람들’, 그리고 ‘로스 주의 종교’라는 제목을 달아 세 장에 걸쳐서 피력했다. 여기에 덧붙여서 킬러난 교회 목사였던 자신의 부친 존 케네디에 대한 일대기를 수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로스 주의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이 책의 3장에서 케네디 목사는 주요 평신도 지도자들, 장로들을 다루고 있다. 그는 자신의 말에 있듯이 하일랜드 교회 사람들의 모습들에 대해서 비난을 퍼붓는 자들의 다음과 같은 지적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며 “즉 하일랜드 사람들이 ‘미신적이고 편협한 자들이며, 환상을 보고 꿈을 꾸며 자신들의 좁은 영역 안에 지구상에 있는 모든 활력적인 기독교가 다 둘러싸여 있다고 생각하는 자들’이라고 비난하는 자들의 고정관념에 도전한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계속해서 주장하기를 특별히 하일랜드 사람들의 도덕적 순결함은 주님과 다른 사람을 향한 사랑에서 분명히 증명되고 있다고 했다”며 “그것이 하일랜드 교회에 끼친 그들의 영향력이라고 했다”고 했다.
그는 “쇠퇴 주장은 〈로스 주의 선조들의 날들〉 책 4장과 마지막 장인 ‘로스주의 종교’에서 명백한 사실이 되었다. 이것은 18세기 하일랜드에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이상적인 모습을 그려주고 있다”며 “그는 경건한 목사와 장로들에 의해서 인도받은 그 교회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참되게 회심한 많은 성도들에 대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 통상적인 안식일, 설교로 영적인 양분을 공급받는 것들, 성도의 교제, 심지어 공 예배와 가정 예배 등도 설명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주중 기도회 모임, 성도들의 교제 모임, 요리문답시간, 및 목회 심방 그리고 전통적인 하일랜드 성찬 시즌에 대해서도 묘사했다”며 “그러나 케네디의 논리는 하일랜드 교회가 18세가 로스 주에서는 완전하였다는 것이 아니다. 그는 그의 설명이 복음적인 사역이 없는 교구들이 붙들고 있었던 것이 아님을 인식했다”고 덧붙였다.
윌리엄 목사는 “그의 두 번째 작품 〈북쪽의 사도〉는 케네디가 그의 가장 본질적인 전기 작가로서의 면모를 드러낸 것으로 자유교회 목회 사역에 있어서 그의 친구요 동료 장로인 페린토쉬의 존 맥도날드 목사에 대한 전기”라며 “책 제목이 말해주듯이 케네디의 관심은 다시 한 번 하일랜드지역에서 기독교 경건에 대한 개념이 무엇이었는지 맥도날드 목사의 생애와 사역에서 발견된 내용을 명확하게 우선적으로 지적하고자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두 권의 책에서 우리는 케네디 목사가 개인적인 경건성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진 사람임을 알 수 있다. 기독교는 단순히 신조들이나 실천사항들이 아니”라며 “그것은 하나의 삶이요 하나님과 관계 속에 있는 생명이다. 실로 그것은 그리스도와 결혼생활이다. 그것은 주일 행사가 아니다. 그것은 주중에 매일 살아내는 삶이요 일 년 내내 살아가는 삶”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흥밋거리들을 위해서 교회에 가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요 하나님이 무엇을 말씀하시는지를 듣는 것”이라며 “하나님의 거룩성과 하나님을 두려워할 필요성에 대한 깊은 관심이 있는 삶이다. 가정에서 사적 예배는 의무사항이다. 주님의 백성들과 더불어서 성경을 논하고 신앙적인 경험들을 나누는 교제는 정기적으로 종종 가져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제 우리 자신들과 우리의 성도들을 다시 한 번 우리 주님께 헌신하도록 촉구해야 한다. 단순히 성경 진리를 믿는다는 것으로 충분한 것이 아니며, 십계명을 지키는 것으로 족한 것이 아니”라며 “하나님과 사랑스러운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