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CCK와 도시공동체연구소가 주최한 제2회 문화목회 세미나가 ‘도서관’을 주제로 열리고 있다. ⓒ김진영 기자

한때 카페가 그랬듯, 지금은 ‘도서관’이 지역 교회들의 필수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주 5일 수업’ 등과 맞물리며 교회의 지역사회 전도 혹은 소통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 그러나 도서관에 대한 교회들의 이해 부족은 운영 미숙과 공간 및 비용 낭비 등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김영주 목사)와 도시공동체연구소(소장 성석환 목사)가 ‘도서관으로 지역을 섬기는 교회’를 주제로 제2회 문화목회 세미나를 마련, 교회의 올바른 도서관 운영 방법 등을 제시했다. 발제는 정재영 교수(실천신대 종교사회학)가 맡았다.
 
정 교수는 “최근 교회들마다 ‘작은 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며 “경기도 안양의 한 목회자에 따르면, 안양 지역에만 줄잡아 1백여개의 작은 도서관들이 있는데, 이 중 70~80개는 교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가 운영하는 도서관의 대부분이 간판만 달아놓고 실제로는 운영되지 않는 형편이라고 이 목회자는 덧붙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교회 도서관들이 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작은 도서관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부족하고 운영 목적도 불분명하기 때문”이라며 “(교회들이) 정작 도서관 자체에는 관심이 없고, 도서관 운영 지원금이나 도서관을 통해 주민들과 접촉점을 마련, 이들을 교회로 유입하는 데만 관심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서관을 통해 전도를 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그렇다면 왜 교회가 도서관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그것은 도서관이 단순히 복음 전도의 수단이기 이전에 교회가 지역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자, 동시에 성경이 말하는 이웃 사랑의 실천이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도서관은 교회 안에 있는 문고나 신앙서적을 비치한 서가가 아닌, 지역 공동체 운동의 일환이다. 곧 책을 통해 마을 만들기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작은 도서관은 책을 매개로 이웃과 만나고 소통하며 건강한 문화 교육을 위해 토론하고 대안을 찾아가는 공간”이라며 “이를 통해 도서관을 중심으로 공동체가 형성되는데, 이 역시 그들만의 닫힌 공동체가 아니라 더 많은 이웃과 지역사회를 향해 나아가는 공동체다. 도서관 안에서 만난 사람들이 지역사회로, 그리고 더 넓은 세상으로 그들의 공동체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교회의 작은 도서관 역시 단순히 도서 대출 업무나 열람실 운영의 수준을 넘어 이용자들이 서로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아이들을 위해 독서지도를 해주거나 읽은 책 내용에 대해 토론을 한다든지, 혹은 좋은 시나 문학 작품을 서로 낭독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쉽게 시도할 만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또 “더 나아가 도서관에서 영화 상영을 하거나 작은 음악회를 개최해 문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지역사회와의 공통 관심사를 개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이를 위해 도서관 한 쪽에 작은 무대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인문학 강좌를 개설할 수도 있다. 더불어 문화 체험 교실을 운영하는 것도 공동체성을 살리는 좋은 방법들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 교수는 “교회가 이러한 작은 도서관 운동에 동참할 때 기독교가 가진 사랑과 공동체 정신이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우리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될 것”이라며 “도서관은 기독교인이 비기독교인들과 격의 없이 어울리면서 지역 공동체를 형성해 가는 중요한 공간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 교수의 발제에 이어 이원돈 목사(부천새롬교회), 변경수 목사(동녘교회), 김성수 목사(예드림교회)가 각자의 교회에서 운영하는 도서관을 소개하며, 각각의 운영방법과 지역사회와의 소통 사례 등을 발표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NCCK #도시공동체연구소 #교회도서관 #도서관 #정재영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