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5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상호관세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 동맹국과 우선적으로 협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며 "우리 정부도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오토랜드 광주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차량의 약 35%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어,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산업 전반에 미치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으며,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조선, 무역균형, 에너지 등 3대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토대로 자동차, 부품, 철강, 알루미늄 등 고관세 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오는 5월 2일까지 유예된 상황과 관련해 "이 시기를 최대한 활용해 산업 기반을 유지하고,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지난 9일 자동차 산업 등 주요 산업을 대상으로 정책 및 금융 유동성 지원 방안을 포함한 대응책을 마련했다"며 "내수 진작과 자율주행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추가 지정하는 등의 투자 환경 개선책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자동차 산업의 연구개발(R&D) 예산 확대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제조 선도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지원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 대행은 민관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정부와 기업이 하나의 팀으로서 대응하는 경제안보 태스크포스(TF)가 작동 중"이라며 "광주 지역의 핵심 제조기업인 기아 오토랜드와 그 부품 협력사들이 중심이 되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미국의 관세 정책 발효 이후 불과 나흘 만에 자동차 산업 대응 대책을 내놓은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최소한 주요 경쟁국과의 형평성 있는 조건이 마련돼야 한다"며, "정부가 협상을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마무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