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순교자의소리(한국VOM, CEO 에릭 폴리, 대표 현숙 폴리)는 7일 서울 정릉 사무실에서 최성일 한신대 명예교수가 저술한 책 ‘최초의 한국어 성서와 한국 개신교의 기원’ 출간 기념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책은 한국VOM이 구한말부터 조선 기독교 선교사로 활동한 스코트랜드연합장로교회 소속 존 로스의 선교 역사를 연구한 최 교수의 박사학위 영어논문을 한국어로 번역해 출간한 것이다.
한국VOM에 따르면, 존 로스 선교사는 북한 지하교인의 뿌리가 될 수 있다. CEO 에릭 폴리 목사는 “한국교회가 성장하려면 한국 기독교의 초기 역사를 알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 개신교의 기원은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아펜젤러, 언더우드, 알렌 등 서양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에서 출발한 기독교다. 이들이 당시 조선 사람들을 전도 방법이 병원, 학교 등 문화나 생활방식의 윤택함을 제공하면서 기독교의 매력을 호소하는 것으로 기독교를 전하는 것”이라며 “조선 사람들이 외국 선교사들이 세운 병원이나 학교, 또는 이들의 사택을 방문하면서 기독교에 매력을 느꼈다”고 했다.
그러면서 “또 다른 그룹은 앞선 서양 선교사들보다 먼저 온 스코틀랜드 출신 존 로스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 전파 방법이다. 이들은 병원이나 학교 등을 세우는 것보다, 성경 번역본을 조선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방식으로 전도했다”며 “이 성경 번역을 했던 조선인들은 처음엔 기독교인이 아니었으나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인이 됐다”고 했다.
그는 “번역된 성경 1만 5천 권이 아펜젤러 등 앞서 소개한 선교사들이 조선에 도착했을 때보다 이미 조선 땅에 배포된 상태였다”며 “그의 선교 방법론은 선교사가 선교지에 먼저 파견되기보다, 성경을 먼저 그 선교지에 배포하는 것”이라고 했다.
에릭 폴리 목사는 “조선에 선교한 두 부류의 선교사들은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이해했다. 존 로스가 성경으로만 전도하는 선교 전략은 1930년대까지 효과적으로 이뤄졌고, 오늘날 북한 지하교인들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며 “1989년부터 남한 기독교는 매년 교세 감소세를 직면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세는 이전 대비 전체 교회의 30%가 사라졌다”고 했다.
에릭 폴리 목사는 “일각에선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령 기독교를 선호하는 정치가를 선출하면 된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다른 전략이 있다. 존 로스에서 시작된 선교 방법론”이라고 했다.
그는 “이는 아펜젤러 등 서양 선교사들이 병원, 학교 등 생활의 윤택함을 제공하면서 전파하는 기독교 방식과 달리,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전도하는 방식”이라며 “존 로스의 선교 방법론으로 인해 북한 지하교회가 성장했다. 이 방법론은 북한 지하교회의 태동 이래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날 남한과 북한 교회의 성장세를 비교하면, 강한 정치적 박해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교회의 성장세가 남한보다 앞서고 있다”고 했다.
에릭 폴리 목사는 “이러한 북한 교회의 강력한 성장세를 견인한 존 로스의 선교 방법론은 교회가 존재하려면 하나님 말씀에 대한 확신이 강렬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존 로스의 선교 방법론을 평범한 기독교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싶어, 존 로스 선교사 전문가인 최성일 한신대 명예교수에게 그가 저술한 존 로스 관련 논문의 출간을 제안했고, 그의 승낙에 따라 순교자의 소리에서 책을 출간하게 됐다”고 했다.
에릭 폴리 목사는 “이는 존 로스 선교 방법론에 관해 설명하는 최고의 책”이라며 “아울러 이 책은 한국 기독교의 전통인 ‘성경 사랑’을 회복하는 지름길을 제시한다. 한국 기독교를 부흥시킬 유일한 방법은 성경 말씀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책의 저자 최성일 한신대 명예교수는 “존 로스가 조선인을 만난 건 하나님의 섭리였다. 제가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대학으로 유학할 당시 지도 교수는 내게 ‘존 로스가 한국 기독교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며 박사학위 논문 저술을 제안했다”며 “안수받은 선교사로서 중국 만주에 파견됐던 존 로스가 어떻게 조선 선교를 결심했을까. 그는 조선인 몇 명을 고용해 한글 성경 번역 작업에 돌입했고, 1882년 누가복음을 시작으로 1887년 신약성경 완역을 완수하기에 이르렀다”고 했다.
최 교수는 “한국 기독교 초기 역사는 미국 선교사로부터 시작했다고 주로 저술되지만, 실질적인 시작은 존 로스 선교사에게서 시작됐다”고 했다.
그는 “3000년 전 선포된 하나님의 말씀이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았다면 한국교회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결국 번역은 회심의 역사”라고 했다.
그러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에 이어 우리 기독교인들이 말씀을 받아들여 삶이 바뀌는 역사가 두 번째 사건이라면, 성서는 선교의 도구가 아니라 본질”이라며 “말씀이 없다면 선교가 이뤄질 수 없다. 어떤 형태로든 말씀이 번역되고 선포돼야 선교가 완수된다”고 했다.
최 교수는 “존 로스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해야 하는 열정밖에 없었다. 그는 번역된 하나님의 말씀을 권서인을 통해 조선에 전파했고, 결국 한국기독교가 발전된 것”이라며 “그러나 한국교회의 쇠퇴는 1980년대부터 하나님의 말씀보다 외적인 부분에 집중한 탓이라고 본다”고 했다.
최 교수는 “1882년 존 로스가 누가복음을 번역할 당시엔 구전 문화로서, 일반 백성들은 읽을거리가 없던 그 시절에 성경을 암송하는데 탁월했다. 그러나 지금은 외우는 것이 쉽지 않은 시대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외워야 살아 움직여 우리에게 역사한다”고 했다.
그는 “당시 상인 김청송이 만주에서 한약 장사를 마치고 존 로스의 성경 번역 작업을 위해 채용됐고 이 작업 과정에서 누가복음 성경 모두를 외워버렸다. 그리고 그는 압록강 근처 자신의 고향으로 내려가 1년 반 동안 가정 75곳에 누가복음을 전파하고 세례를 줬다”며 “존 로스의 성경 번역본은 한국 새문안 교회 창립에 영향을 줬다. 이처럼 존 로스는 한국 개신교의 기틀을 잡은 인물”이라고 했다.
최 교수는 일각에서 알려진 존 로스 일화에 관해 오해가 있다며 “존 로스가 한국어 성경 번역 작업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고, 다만 자금 조달 등 출판 책임 역할을 했다”고 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