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목사 (품는 교회 담임, Next 세대 Ministry 대표)
김영한 목사 (품는 교회 담임, Next 세대 Ministry 대표)

다음 세대는 학교, 사회에서뿐만 아니라 종교와 종교기관에도 긍정적이지는 않다.

다음 세대 출산율 인구절벽으로 다음 세대가 줄어들고 있는 것 같지만, 그렇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 교회는 T자형 구조이다. 50~70대가 교회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 위에 수많은 교인이 사라지면, i자 다음 세대만 남게 된다. 그러면, 지금 5-10% 다음 세대 수만큼 한국 교회 기독교률로 남을 수밖에 없다.

<통계청 자료>

2019년 9월 23일 기독 일보에 “합동 통합 교인 수 감소세 각각 약 11만 명, 7만 3천여 명 줄어” 제목으로 기사가 실렸다.

“국내 최대 교단인 예장 합동 측의 지난해 2018년 교인 수가 2017년의 2,688,858명에서 32,092명(-1.2%)이 준 2,656,766명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합동 측 교인 수는 2016년 2,764,428명에서 2017년 2,688,858명(-75,570명), 2018년 다시 2,656,76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이 기간 모두 107,662(-3.9%)명이 줄었다.

저출산 여파 등으로 교회학교 학생 수도 계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중고등부의 경우 19만 5,275명에서 올해 11만 9,691명까지 감소해 10만 명 선이 깨질 위기에 처했다.

이 외에 모든 부서가 전년보다 감소했다. 영아부 14,934명(-4,154명), 유아부는 2만 475명(-1,129명), 유치부 4만 8,101명(-2,311명), 유년부 4만 4,288명(-1,205명), 초등부는 5만 193명(-1,610명), 소년부 5만 4,687명(-1,569명)이었다.”

지금 청소년들이랑 많이 이야기해 보면, 교회에 나오고 싶어 하지 않는다. 교회에서 더 축복받고, 인정받고, 케어를 받으며 자유를 만끽해야 하는데, 정작 교회 밖이 더 편하고, 더 좋게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에 와 있으면 청소년들이 더 경직되고, 불편한 곳으로 느끼고 있다.

다음 세대가 잘 안 되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

첫째, 다음 세대가 문제인 것은 청소년 자체에 문제가 있기보다 섬기는 사람들에게 더 책임이 있다. 부모님들도 문제지만, 앞에선 교사들과 지도자들도 그 책임을 간과할 수 없다. 너무 답답한 것은 다음 세대 한 영혼에게 정말 관심이 없다. 학교 혹 종교기관에서 양육하기보다는 사육하고 있다.

여전히 교사 혹 섬김이가 너무 많은 일을 맡고 있다. 수많은 행정적 일을 한다. 다음 세대 청소년들을 만날 시간이 있어도, 재정적으로 서포트를 해 주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종교기관도 청소년들을 담당자가 케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지 못하다. 이런 현실에서 청소년을 제대로 케어하기란 어불성설이다.

둘째, 구조적 문제보다 심각한 리더의 태도와 자질이다.
청소년들을 섬기는 그냥 편하게 아침에 9시에 출근에서 5시~6시에 퇴근하면, 섬김이 잘 될까? 잘 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좀 더 뛰어야 한다. 다음 세대 청소년을 세우려면, 땀, 눈물, 심지어 피까지 흘려야 한다. 농부가 열매를 맺을 때, 딱 정해진 시간에만 일할까? 한낱 곡식과 과일을 재배하려고 해도, 혼신의 힘을 다 써야 한다. 하물며 우리나라 미래인 청소년을 세우는 일은 어떠해야 할까?

김영한 목사(품는 교회 담임, Next 세대 Ministry 대표)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