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7~64세 이하 남녀 3390명으로, 일대일 면접조사 방식을 거쳤다.
이용자들은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작년 1월 말 이후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간이나 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간이 늘었다고 응답한 항목은 유튜브, 네이버TV 등 무료 온라인 동영상 시청(68.2%), 인터넷 정보 검색(65.0%), 음악 스트리밍(55.0%)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횟수가 증가한 서비스는 배달의 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음식 주문(61.5%), 인터넷 쇼핑(59.1%) 등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서비스 이용 빈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서비스로는 업무·학업 관련 온라인 미팅(83.9%), 온라인 강의(75.8%), 온라인 스포츠 관람 및 문화생활(75%), 온라인 세미나(72.5%) 등을 꼽았다.
이용자들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서비스를 폭넓게 사용하는 동시에 사생활의 감시와 침해 가능성을 우려했다.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생성되는 개인 데이터 활용과 관련해 자신의 데이터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에 70.1%가 우려를 표했으며, 온라인에 남긴 자취로 맞춤형 광고에 노출되는 것에 대해서는 67.7%가 신경 쓰인다고 응답했다.
개인맞춤형 교육서비스 제공 목적(58.1%), 전화나 온라인을 통한 진료상담 정보를 다음 진료나 처방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56.3%)에는 개인 데이터 활용에 동의했다.
카드 사용 내역이나 위치 추적을 통해 사후적으로 동선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64.8%가, 방역지침을 위한 방문기록이 안전하게 폐기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62.4%가 우려를 보였다. 확진자의 개인정보나 세부 동선 공개에 대해서도 61.4%가 사생활 침해 우려를 표시했다.
방통위는 "이번 조사 결과 온라인 서비스의 질적 하락과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등이 향후 지능정보사회 대비를 위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미디어 이용자가 지능정보 서비스 활용과 관련해 위험에 대한 인식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 방안을 지속해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