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독거노인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알아보자. [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지원 ] 외로움에 의한 고독사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친구관계를 만들어 준다... ‘눈 맞춤’으로도 충분한 하루
서로의 눈을 마주볼 때 우리는 말하지 않아도 그 안의 많은 감정을 주고 받는다. 어렸을 때부터 듣지 못하는 불편을 대신해 더 잘 보려고 노력했던 습관이 있다. 이러한 습관은 지금의 아들 예준이가 엄마와 마주보며 눈빛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게 되는데 더없이 좋은 영향을 주었다...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⑧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다문화가족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생활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입국초기의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이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없도록 통역과 번역 서비스를 지원하며 통·번역 인력채용 등으로 자립을 돕는다.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의 가족·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 지원..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⑦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생활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북한에서 이주한 주민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하나원의 교육을 수료한 후 주거 공간을 지원한다. 보호 결정된 북한이탈주민 및 결정되지 않은 사람 중 체류국에 10년 이상 생활 근거지를 두고 있는 사람과 국내 입국 후 3년이 지나서 보호 신청한 사람..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⑥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의료비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신체적·정신적 질병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에게 본인 부담 의료비를 지원하여 한국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한다. 2020년에 질병으로 치료받은 북한이탈주민에게 지원..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⑤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생활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북한이탈주민의 채용 확대와 장기근속, 안정된 직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사업자와 북한이탈주민에게 취업장려금 등을 지원한다. 취업보호기간(거주지 보호 기간에 최초 취업한 날부터 3년)의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 지원 거주지 보호기간(5년) 내의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지원..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④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다문화·탈북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다문화 가정의 학생과 탈북학생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여 기초학력이 향상되도록 대학생이 멘토링을 지원한다. 초·중·고교생 중 다문화 가정의 학생과 탈북학생 지원..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②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다문화 가정의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건강한 사회구성원,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언어발달을 돕는다. 언어평가 및 언어교육이 필요한 만 12세 이하의 다문화가정의 자녀 아래의 대상을 우선 지원..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다문화(새터민) 편①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육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집합교육 참여가 어려운 다문화 가정에 방문하여 한국어 교육, 부모 교육, 자녀생활 교육을 제공하고 다문화 가족의 정착과 자녀양육을 돕는다...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아동·청소년 편⑮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아동 돌봄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자. 맞벌이를 하거나 갑자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일이 생겼을 때 육아 도우미가 방문하여 아이를 돌봐준다.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만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정을 정부에서.. 한 눈에 보는 복지서비스 아동·청소년 편⑭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중 아동을 위한 돌봄 지원 제도를 알아보자.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 취학 전·후의 아동 및 부모에게 지원 누가 받을 수 있나 취학 전·후의 아동 및 부모에게 지원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 청각장애인에겐 너무 어려운 부동산 정책
청각장애인은 소리로 이뤄진 정보를 수어 통역과 속기 통역, 그리고 텍스트 자료로 접근하다 보니 비장애인보다 늦게 정보를 얻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정보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다. 요즘 자고 나면 바뀌는 부동산 정책으로 언론이 바쁘다. 언론에 정책의 주요 내용이 빼곡하게 들어가 있지만, 청각장애인에겐 너무나 생소한 정보다. 다른 장애인들도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장애인의 배려가 턱없이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