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세종특별자치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6월 3일 치러질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는 "압도적인 정권교체로 내란을 완전히 종식시켜야 한다"며 민주주의 회복과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전 지사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두관 전 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내 네 번째 대선 출마 선언자다.
김 전 지사는 "현재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위기, 국민 분열의 위기, 국가 경쟁력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자신이 "입법, 행정, 국정 운영 경험을 모두 갖춘 유일한 후보"임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다시 이 나라의 주인이 되어야 하며, 모든 권력은 국민 개개인으로부터 나온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 한 사람이 국민을 이끄는 방식, 정당이 권력을 독점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한 국가를 만들 수 없다"고 비판하며, "비상계엄과 같은 불행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치 개혁과 제도 개혁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세 가지 핵심 공약을 발표했다. 첫째, 다음 정부 출범 즉시 '100일의 대타협과 비전'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둘째, 다음 지방선거 시점에 맞춰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셋째, AI(인공지능)와 디지털 전환, 기후경제 선도, 인재 양성을 축으로 한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를 약속했다.
이와 함께 그는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구상을 공개했다. 김 전 지사는 "행정구역을 재편해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가 국가 발전의 주체가 되도록 하겠다"며, "이들 자치정부에 연간 30조 원 이상의 자율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메가시티 자치정부가 대학, 연구소, 기업과 협력해 인재를 육성하고, 그 인재가 다시 지역을 성장시키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세종시를 완전한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이전하고, 지방분권을 넘어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를 도입해야 한다"며, "이러한 변화가 대통령의 절대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 말미에서 그는 "불과 8년 만에 우리는 다시 인수위 없는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다"며, "이제는 국민을 하나로 모아야 하며, 분열과 갈등을 넘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때"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저 김경수가 겸손한 권력으로 강한 나라를 만들고, 빛의 연대로 '나와 우리의 나라'를 함께 세워나가겠다. 저에게 기회를 달라"고 호소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