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가 오는 4월 2일부터 수입 자동차와 주요 부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자동차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대책을 다음 달 중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2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미국의 이번 조치에 따른 국내 자동차 산업의 영향을 점검했다. 회의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진행됐으며,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업체, 관련 협회 및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앞서 미국은 26일(현지시간),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경량트럭을 포함한 수입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대상 품목에는 자동차 엔진, 엔진 부품,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부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세부 항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부는 미국 정부의 조치가 국내 자동차 및 부품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대미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안덕근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는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협조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관계 부처와 협력해 4월 중 자동차 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비상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