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장기 투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증질환자 단체가 이에 대한 강한 우려를 표하며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비판에 지지를 보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8일 발표한 '서울의대 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환영 의견'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제자를 위해 참스승의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서 환영하고 응원한다"며, "환자를 외면하는 행태를 감싸주는 의사 카르텔 문제를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희망을 봤다"고 밝혔다. 또한 "강경한 입장을 밝힌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내부에서 공격받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대 의대 및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 4인은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투쟁 방식을 강하게 비판했다. 하은진(신경외과 및 중환자의학과), 오주환(국제보건정책), 한세원(혈액종양내과), 강희경(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해당 입장문에서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이나 설득력 있는 대안 없이 1년을 보냈고, 오직 '탕핑(躺平, 무기력한 저항)'과 반대만이 남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며 "진짜 피해자는 지난 1년간 치료받지 못한 환자들과 그 가족들이 아니냐"고 강조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년 넘게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로 의료대란이 지속되면서 환자들은 극심한 공포 속에 지내야 했다"며 "이러한 악몽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참담한 심정을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사회적 공감을 얻지 못하는 막연한 투쟁과 복귀를 가로막는 행동을 지적했다"며 "현장에서 묵묵히 환자를 지키고 있는 소수의 전공의들이야말로 진정한 의사"라고 평가했다.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장기 투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의료계와 환자 단체들의 시각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