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는 그의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반영한 조치로, 실제 시행될 경우 미국과의 교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업계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관세율은 25% 이상이 될 수 있으며, 1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한국 자동차 업계, 미국 시장 경쟁력 약화 우려

미국 정부가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한국산 자동차의 경쟁력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완성차 347억 달러(전년 대비 7.9% 증가), 부품 71억 달러(전년 대비 1.2% 증가)를 기록했다. 전체 자동차 수출(683억 달러)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0.8%로, 전년(47.1%) 대비 증가했다.

또한 미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11월 미국이 수입한 자동차 중 한국산 비중은 17.6%로, 전년(14.8%) 대비 2.8%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캐나다를 제치고 미국 자동차 수입국 3위에 올랐다.

◈기아 등 멕시코 생산 차량도 영향권

특히 기아를 비롯해 멕시코에서 차량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국내 업체들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KB증권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0%, 멕시코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약 1조9000억 원, 2조4000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 피해를 볼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일괄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5% 이상의 관세가 실제로 시행되면 미국 내 자동차 공급망이 흔들리고,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 소비자 부담 증가 가능성

전문가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산 차량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소비자가 지불해야 할 차량 가격이 평균 6250달러(약 900만 원)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업계가 미국산 철강 사용을 늘린다 해도, 일부 업체들은 외국산 철강 가격 상승을 기회로 삼아 제품 가격을 더욱 올릴 가능성이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자동차 시장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 미국 완성차 기업들도 관세 부과 시 원자재 및 부품 비용 증가로 인해 생산 전략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실행 가능성은?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8년에도 자동차 관세 부과를 검토했지만, 결국 실행하지 않았다. 당시 미국 상무부가 자동차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지만, 최종적으로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자동차 관세 정책에는 법률적·절차적 장애물이 존재한다. 미국 의회는 2018년 자동차 관세 부과에 대한 행정 명령을 거부한 바 있으며, 이번에도 강하게 반발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25% 자동차 관세는 WTO(세계무역기구) 규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2018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 이전까지 자동차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다가, 의회 및 업계의 반발이 커지면 철회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 내 반발…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지속될 듯

미국 내에서도 자동차 관세가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일부 공화당 의원들도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을 인상시키고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미국무역대표부(USTR)와 상무부도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관세 부과가 미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협상 카드로만 활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여전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현지 생산을 늘리는 동시에 현지 업체와의 협력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럼프 #자동차 #자동차수출 #자동차수입 #자동차관세 #자동차관세25%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