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을 앞두고 강력한 관세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며, 국내 산업계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공약에서 밝혔던 수입품 전반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을 재확인하며, 멕시코와 캐나다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취임 첫날인 1월 20일,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중국산 제품에는 10%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무역 공세를 강화했다. 이러한 조치는 불법 이민과 마약 유입을 차단하겠다는 명분도 제시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발표는 대미 주요 수출국에 대한 무역 공약 실천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는 2023년 9월까지 미국 수입품의 42%를 차지하며 주요 교역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USMCA) 체결로 인해 미국 수출품에 무관세 혜택을 누려왔다. 국내 대기업들도 인건비와 운영비 절감 효과를 이유로 멕시코에 대규모 생산 기지를 운영하며 대미 수출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모비스 등 주요 기업들이 멕시코에서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해 미국 시장으로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25% 관세가 현실화되면 생산비 상승과 가격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해, 공급망 재편과 생산량 조절 같은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둔 A기업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를 올릴 가능성은 예견됐던 일"이라며 "아직 실제 부과가 시작되지 않았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B기업 관계자는 "미국으로 직접 보내는 물량이 적더라도, 멕시코 생산 제품에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상승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처럼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멕시코와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 대미 수출 전략 전반에 큰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공세는 중국뿐 아니라 오랜 우방국인 캐나다에도 동일하게 적용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우방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또한 이번 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