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이 190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자료에 따르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이 1913조8000억원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18조원 증가했다. 이는 2021년 3분기(35조원) 이후 최대 증가 규모다.
가계신용은 올해 1분기 3조1000억원 감소했다가 2분기 13조4000억원 증가로 전환된 후 3분기에 증가폭이 더욱 확대됐다. 전기대비 증감률은 1.0%로 2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1.9%를 기록하며 5분기 연속 상승했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은 1795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6조원 늘어났다. 이 역시 2021년 3분기(34조800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19조4000억원 늘어난 1112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분기 증가폭 16조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2021년 3분기(20조9000억원)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택매매 거래 증가가 지목된다.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1분기 5만9000가구에서 2분기 8만3000가구, 3분기 9만6000가구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기타대출은 3조4000억원 감소한 683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2조7000억원)보다 감소폭이 확대된 것으로, 증시 침체로 인한 증권사 신용공여액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증가폭이 17조3000억원에서 22조7000억원으로 확대된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1조7000억원 감소했다. 기타금융기관의 감소폭은 4조9000억원으로 더욱 커졌다.
판매신용은 추석 연휴 영향으로 신용카드 이용규모가 늘면서 2조원 증가했다. 개인 신용카드 이용액은 1분기 187조4000억원에서 3분기 192조9000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은행 김민수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가계신용 증가폭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장기 평균 증가폭 22조2000억원을 하회했으며, 올해 3분기 누적 증가율은 1.5%로 명목 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9월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등 거시건전성 정책과 가계대출 관리의 영향으로 9월 들어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며, "수도권 부동산 거래가 7월부터 둔화되는 만큼 향후 3개월간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