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는 여행 가이드인 토니 무바라크의 기고글인 ‘편협함에 대한 기독교인의 반응은?(From Middle East: What is the Christian response to intolerance?)을 6일(현지시간) 게재했다.
예루살렘 출신의 무바라크 가이드는 기독교 교회와 선교 단체를 이끌고 성지를 통과하는 데 20년 이상의 전문성을 가진 가이드로서 역사, 지리, 중동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추고 있다. 다음은 기고글 전문.
모두가 '편협함(intolerance)'이라는 말을 자주 쓰고 있지만,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그것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우리가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풀어내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고 생각한다.
저는 예루살렘, 바로 예수님이 걸었던 땅에서 태어나고 자란 중동의 기독교인으로서 이 주제에 대해 한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편협함은 단지 강한 신념을 갖는 것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신념이 너무 경직되고, 질문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고착되어 다른 사람들을 부당하게 대하는 정당화의 도구가 될 때 발생하는 문제다. 여기서 문제가 시작된다. '자신의 관점이 유일한 옳은 것이다'라는 믿음이 생겨나면, 다른 사람들은 단지 틀린 것이 아니라, 적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미끄러운 경사로다. 편협함과 차별을 정당화하기 시작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폭력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얼마나 쉽게 그것이 악화될 수 있는지 상상해 보라. 이것은 단지 신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편협함으로 나타나는 영적인 문제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의 사랑과 용서의 메시지가 더욱 급진적인 이유다.
예수님은 압제와 증오가 만연한 시대에 살면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가르쳤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이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세요. 그들은 자기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라고 기도하신 것이 바로 그 예다. (누가복음 23:34)
이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예수님은 당시의 시스템을 완전히 뒤집는 것을 촉구하셨다. 용서가 저항의 방식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이건 말처럼 쉽지 않다. 특히 우리가 역사적인 불의, 깊은 고통, 세대에 걸친 트라우마를 이야기할 때는 더욱 그렇다. 이것은 우리가 고통을 무시하거나 일어나지 않은 일처럼 여겨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진정한 화해,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화해는 바로 그 이해의 토양에서 자라날 수 있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용서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어떻게 그 고통과 원한의 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법적인 모델, 즉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방식을 버려야 한다. 우리는 은혜로 나아가야 한다. 그 은혜는 자격이 없는 자에게 주어지는 사랑이다.
그것은 연쇄 반응처럼 일어나며, 물결처럼 퍼져 나간다. 우리가 용서할 때, 어쩌면 그 용서가 다른 사람에게도 열려 있는 문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사랑과 이해의 순환이다.
용서는 단지 종교적인 이상이 아니다. 그것은 실제 변화를 위한 도구다. 먼저 우리 자신을 위해, 그 다음에는 우리의 공동체와 세상을 위해서 말이다.
하지만 증오와 폭력이 가득한 세상에서 단지 사람들에게 서로 용서하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것은 그 이상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실제로 그것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개인으로서, 또 공동체로서, 우리가 그 분열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까? 그리고 더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구체적인 일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먼저 자신을 교육해야 한다. 다양한 신앙과 문화에 대해 배우고, 존중하는 대화를 나누며, 무엇보다도 우리 자신의 편견을 도전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관계를 쌓아가야 한다.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손을 내밀고,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고, 공통점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인간성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에게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의 인간성을 보며, 그들과 함께 우리가 그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는 쉽지 않지만, 인류가 수천 년 동안 겪어온 폭력과 증오의 순환을 끊을 유일한 길이다. 결국 모든 것이 용서라는 급진적인 행동으로 돌아온다.
저는 이것을 종종 ‘경청하는 사랑’이라고 부른다. 이 표현은 저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이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가 분열을 다리 놓기 시작하기 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사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그것은 단지 그들의 말을 듣는 것만이 아니라, 그들의 관점, 역사, 아픔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비록 그들과 동의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모든 사람에게는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는 무시되지 않고 들려져야 할 가치가 있다.
우리는 우리만의 작은 거품, 선입견, 편견을 넘어서서, 우리가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 자리에 머무르지 않도록, 새로운 것을 배울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