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가 3분기에 전기 대비 0.1% 성장하는데 그쳤다. 2분기 마이너스 성장(-0.2%)에서 간신히 플러스로 전환했으나, 한국은행의 당초 전망치인 0.5%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우리나라 GDP 성장률은 2022년 4분기 -0.5% 기록 이후 지난해 1분기 0.4%로 반등했고, 올해 1분기에는 1.3%의 깜짝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2분기 -0.2%로 다시 하락했고, 이번 3분기에도 부진한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성장률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승용차와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0.5% 상승했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6% 증가했으며,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 장비와 항공기 등의 증가로 6.9% 상승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2.8% 감소하며 2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자동차 파업의 영향으로 수출도 0.4% 감소해 2022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성장률에 대한 민간 기여도는 -0.4%포인트로 더욱 낮아졌고, 순수출기여도 역시 -0.8%포인트로 크게 하락했다. 다만 내수 기여도는 0.9%포인트로 플러스로 전환됐으며, 민간소비 기여도도 0.2%포인트로 상승했다.
한국은행 신승철 경제통계국장은 3분기 성장에 대해 "내수가 건설투자 부진에도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증가하며 회복 흐름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수출 부진에 대해서는 "완성차 업체 파업과 같은 일시적 요인이 컸다"며 "전반적으로 수출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3분기 성장률 부진으로 한국은행이 제시한 연간 성장률 전망치 2.4% 달성이 어려워졌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4분기에 1.2% 이상의 성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한국은행은 다음 달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할 것임을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성장세 지속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지적한다. 미국 대선 리스크, 중국 경기 부진, 반도체 경기 불확실성 등이 수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더욱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기업들의 설비투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내수 회복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수출 부진으로 인해 내수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졌고, 높은 체감물가와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은 가계의 소비 여력을 제한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내수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마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미국의 금리 인하 지연으로 원·달러 환율이 138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집값과 가계부채 급등 우려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한 내수 침체와 반도체 수출 약세로 2% 중반 연간 성장률 달성이 어려워졌다"며 "가계부채와 고환율 등으로 인해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도 제약적"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