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창립 총회 모습.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제공

교회가 은둔·고립자의 외로움 문제를 해결할 적합한 단체라며 교계 역할을 당부하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창립 행사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에서 열린 가운데, 이날 윤철경 지엘청소년연구재단 상임이사가 이같이 밝혔다.

윤 이사는 이날 행사에서 멘토링 등 교회의 인적·재정적 자원을 활용해 고립청년과 청소년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서 그들을 세상 밖으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9~34세 인구의 5.0%(약 54만명)가 고립(은둔은 24만4000명) 상태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는 점점 심화하는 고립·은둔 청년 등 고립자들이 고립에서 벗어나 세상으로 나오도록 돕기 위해 결성됐다. 나는청소년(노원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단법인 씨즈, 사단법인 지엘청소년연구재단, 사단법인 파이나다운청년들, 사단법인 지역공공정책플랫폼광주로(광주광역시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사회적협동조합 일하는학교, 지식순환사회적협동조합 한빛청소년재단(송파구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가 협력했다. 향후 교회와의 협력도 용이해질 전망이다.

이 단체는 이날 발표한 창립 취지문에서 “은둔형 외톨이는 범죄자도 장애인도 아니다. 게으른 사람도 아니다. 오히려 탁월한 소질과 능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이러한 잠재력은 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 가족의 온정적 보살핌, 또래 관계에서의 즐거움 등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한 채 사회로부터 받은 억압과 폭력, 경쟁과 성취 압력 등을 견디지 못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최후의 안전망으로 피신한 것이다. 이러한 피신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들로부터 이해받지 못하고 모욕을 당할수록 점점 사회 복귀는 힘들어진다”고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고립 은둔 청년 문제가 부각되면서 지난 2020년부터 국내 민간기관들이 은둔 및 고립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힘을 모으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방자치단체들도 조례 제정 등 지원을 가속화하기도 했다. 2020년 7월 1일 광주광역시는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이를 계기로 서울특별시 등 지자체들도 은둔·고립자 지원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는 민간 재단들의 은둔·고립 청년 사업 지원이 탄력을 받으면서, 각 단체들의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 단체는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개별 기관들은 각기 가지고 있는 인력과 자원을 기반으로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은둔·고립자 및 가족들에 대한 지원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며 “아직 일천한 경험들이지만 이러한 경험들은 한국 상황에 맞는 지원 모델을 구축하는 데 소중한 자원이다. 청소년, 청년, 중장년에 이르는 은둔·고립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하고 장기적으로 지원, 연계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에 필요한 마중물이기도 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날 발족하는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는 은둔고립 당사자와 가족을 돕는 기관들의 교류와 협력 플랫폼”이라며 이 단체는 창립 방향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이 단체는 “은둔·고립 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과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실효성 있는 실천방안을 정착시키기 위해 교류, 협력하며 현장의 실천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며 “은둔·고립자에 대한 왜곡된 사회적 시선을 거두고 이들에 대한 사회 인식을 개선함으로서 이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국가의 정책대안과 공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의미 있는 성과 도출을 위해 정책제안과 더불어 감시활동, 이슈 제기 활동을 하고자 한다”고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