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이승만의 정읍선언과 대한민국’을 주제로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우남네트워크가 ‘6·3 정읍 선언’ 77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로 대한민국 건국의 시작과 자유민주 통일의 염원이 ‘정읍 선언’에서 시작됐다는 취지에서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박명수 박사(서울신대 명예교수)는 “1946년 6월 3일 이승만의 ‘정읍 선언’이 분단의 원흉이라는 비판이 자주 제기된다”며 “이승만 전 대통령은 분단이 아닌 남한과 북한의 통일 정부를 추구했으며 그의 꿈은 한반도의 자유 통일”에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 전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압력을 넣어 한반도 통일을 이루고자 한 것이지 단독정부 수립이 목표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박 박사가 언급한 ‘정읍 선언’이란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46년 6월 3일 지방 순회 중 전라북도 정읍에서 한 연설을 가리킨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군중들 앞에서 “무기 휴회된 미소공동위원회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 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 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시라”는 연설을 했다.
‘정읍 선언’은 사실상 38선 이남의 단독정부 수립을 처음으로 언급했다는 점에서 좌파 학자들이 이 전 대통령을 ‘한반도 분단의 원흉’으로 규정해 공격하는 근거가 돼 왔다. 그러나 소련에 의해 이미 수립된 북한 공산 정권으로부터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방어적 수단이었음에도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해 온 게 사실이다. 박 박사는 그런 점에서 ‘이승만의 정읍 선언’을 한반도 분단의 출발로 여기는 시각이야말로 역사 인식의 오류라고 지적했다.
해방 직후 38선을 중심으로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 군대가 주둔했다. 시간이 갈수록 한반도에 분단이 고착될 수 있다는 우려가 깊어지는 상황이었다. 당시 미국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의 독립을 지지한 ‘카이로 선언’에 참여한 소련을 신뢰하는 분위기였으나 이승만은 그렇지 않았다는 게 국내외 외교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소련이 한반도를 공산화하기 위해 북한에 김일성 정부를 세울 계략을 간파하고 있었다는 거다. 이런 관점에서 ‘정읍 선언’은 남한 단독정부 수립이 아닌 국제사회와 협력해 통일 한국을 수립하려는 게 궁극적 목적이었다고 함이 지당하다.
‘정읍 선언’의 핵심은 한반도에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선(先) 임시정부 수립, 후(後) 민족 통일 달성‘이라는 단계적인 통일 정부 수립론을 처음으로 공표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당시엔 대부분의 정당·단체·언론들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했다. 이 구상이 이미 수립된 북한의 공산 정권으로부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자구적 행동이었다는 평가는 한참 후에 나왔다.
그런 점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후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난세에 냉혹한 국제 정세를 꿰뚫어 보고 오늘의 대한민국 기초를 든든히 세운 지도자라는 평가가 새롭게 나오고 있는 건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다만 ‘정읍 선언’의 뜻이 분단이 아닌 통일에 목표가 있었을 뿐 아니라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 건국의 기초가 됐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선언의 가치를 인정받을 때가 됐다고 본다.
이런 분위기를 말해주듯 최근 국내외에서 우남 이승만 박사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좌파 진영에서는 여전히 그를 ‘친일 인사’, ‘분단 원흉’, ‘독재자’로 매도하며 날선 비판을 멈추지 않고 있지만, 미국의 외교·역사학자들의 평가는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보훈처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해 지난달 28일 미국 조지워싱턴대학에서 개최한 ‘이승만 대통령 재조명’ 좌담회에서 미국의 석학들은 “이승만에 대한 한국 내 역사적 평가가 치우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 내 좌파 진영이 이 전 대통령을 공격하는 것에 대해 “당시 상황을 면밀히 고려하지 않았거나 이미 드러난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왜곡”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미국 학자와 외교 전문가들의 의견은 “이승만은 분단의 원흉이 결코 아니”라는 것으로 집약된다. ‘친일 청산에 소극적인 친일 인사’라는 비판에도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통령에 당선된 후 집권 연장과 주위 인물 관리에 소홀한 점이 있지만, 자유주의 개혁을 옹호한 점, 독립운동을 위한 집념과 농지개혁 등은 한국인들이 이승만을 존경해야 할 이유라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의 현실은 아직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이념 논쟁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지난 22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진보당 강성희 의원은 이 전 대통령을 “내란죄의 수괴”라고 지칭했다. 4·19 혁명 당시 경찰의 발포로 시민이 숨진 사건을 언급한 건데 독립운동가이자 건국 대통령을 향한 악담이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다.
역사에는 어떤 주인공이든 공과(功過)가 있기 마련이다. 이승만이란 인물 역시 역사적 평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고 혼돈의 시대에 나라를 구한 위대한 지도자였다는 사실까지 훼손하는 건 곤란하다.
그는 투철한 기독교 신앙으로 공산주의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데 온 힘을 쏟았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이념 논쟁거리로 삼는 저의가 불순한 거다. 6.25 전란 이후 그의 노력으로 이뤄낸 한미상호방위조약이 한미동맹으로 연결돼 지금까지 자유 대한민국을 지키는 든든한 울타리가 되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감사하고 존경할 이유는 차고 넘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