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정치] 4.13 총선 이후 정치권이 차기 지도부 구성 문제를 놓고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총선 참패 후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여당인 새누리당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부터 삐걱거리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도 차기 당권을 놓고 신경전이 치열하다.
우선 새누리당은 원유철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놓으면서 당장 비대위 구성은 어렵게 됐다.
하지만 총선 참패 책임론과 맞물리면서 이를 둘러싼 당내 공방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비박계이자 김무성 전 대표의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20일 KBS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총선 패배에 책임이 있으면서 비대위원장을 수행하는 것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것"이라면서 "수평적 당·청 관계를 무시하고 관리형 지도체제가 좋다던 사람에게 비대위원장을 맡기면 비대위 구성도 그 나물에 그 밥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친박계도 반박에 나섰다.
청와대 홍보·정무수석을 잇따라 지낸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계파와 지역, 선수를 초월해 당을 개혁해야 한다"면서도 "대통령과 등을 돌리고 한 길을 가지 않으면서 집권여당에 있을 이유가 뭐냐"면서 청와대 책임론에는 강력히 반박했다.
야권도 차기 당권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분위기다.
더민주는 김종인 대표 합의추대론을 둘러싸고 당내 공방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범주류 측에서는 김 대표를 공격해가며 '셀프 대표'는 없다는 입장이고 비주류 측도 일단은 조심스러운 반응이지만, 당 일각에서는 여전히 대선 국면에서 관리형 대표로서 김 대표가 적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총선에서 살아남은 중진 의원들이 속속 당권 도전 의사를 피력하면서, 자칫 합의 추대 문제가 조기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상황이 복잡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도 감지된다.
국민의당의 경우, 거물급 중진 의원이 많아 대권과 당권은 물론 원내대표 경쟁도 만만치 않을 거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당권의 경우 신생정당인 만큼 권리당원 등 전당대회를 치를 조직 기반 자체가 취약해 이와 관련한 전당대회 룰 문제 논의부터 시작해야 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