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신앙·성도] 한국교회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약자에 관심을 갖는 인권의식과 사회적 공공성을 어떻게 실천할까라는 성찰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율곡로 예장통합측 여전도회관에서 열린 '3.1절 기념 동북아 평화포럼'에서 양현혜 교수(이화여대 기독교학과)는 먼저 '일본군 군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교회사적 성찰과 반성'이라는 발제를 통해 "위안부로 강제된 여성은 장병들의 성욕처리를 위한 '공동변소'였다"며 군대가 여성을 구속하고 윤간한다는 자체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조직화며 중대한 인권침해라고 강력 성토했다.
양 교수는 이어 일제시대 한국교회는 일제의 요구로 성전론적 전쟁관에 압도됐다며 이로 인해 한국교회는 극악한 전쟁범죄였던 일본군 군대 위안부 문제를 신앙적 응답이자 실천의 문제로써 공감하기 역부족였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신사참배 문제와 같은 기본적인 친일 청산도 해내지 못한 한국 개신교에서 일본군 군대 위안부 문제를 자기 문제화하는 것 또한 역부족이었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아직까지도 한국교회는 인권 의식이 부족하다고 전하며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대세는 개인구원에 머물러 있다"며 "구원받은 개인이 사회적 공공성과 공공의 선을 어떻게 실천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을까라는 성찰은 부족하다"고 한국교회의 현 주소를 진단했다.
그러면서 "기독교 역사 2천 년을 보면 확연하듯이 기독교가 약한자와 어린자 그리고 가난한 자의 슬픔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차게 살고 싶어하는 그들의 마음과 소통하려는 지향성을 잃어 버릴 때, 그것은 어쩔 수 없이 '힘'을 숭배하는 우상숭배의 종교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양 교수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의 신앙교육은 인권과 평화 그리고 생명을 중시하는 시민교육과 함께 가야 한다"며 "'복음만'을 주장하며 기독교를 '성공의 종교', '강자의 종교'로 오도하려는 모든 '영적 기업문화'는 저항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한국 개신교회는 '신앙이 좋은 성도'와 '사회적 공공성'을 자각하는 행동하는 '좋은 시민' 사이에 간극이 너무나 크다"며 "(이를 위해서) 신앙교육에 있어 시민적 공공성과 책임성 그리고 연대성을 깨우는 시민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이날 포럼에서는 윤미향 대표(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정부간 12.28 합의 무효를 넘어 정의로운 해결을 향해'를, 임희국 교수(장신대)가 '1919년 3.1운동 '독립선언서'(서울)의 평화사상과 기독교의 평화'라는 발제를 각각 전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