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재정·공공 연금·보험 지출 구조가 지금 상태를 유지하면 현재의 20∼30대 연령층은 한 사람당 평균 1억원이상을 받는 혜택보다 초과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정됐다.
부담보다 혜택이 더 큰 연령층은 현재 50대 후반 연령대부터다.
28일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정책분석팀 김명철 차장 등 3명이 작성한 '인구구조 변화가 재정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BOK 경제연구 2014년 20호)에 따르면 '세대 회계' 기법으로 추정한 연령대별 순부담액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5세로 나누어 추정한 결과, 2011년 현재 만 20∼25세미만 연령층의 순부담액은 1인당 1억1천만원, 25∼30세 미만은 1억700만원, 30∼35세미만은 1억1천200만원, 35∼40세미만은 1억600만원이었다.
40∼50세미만은 9천700만원, 45∼50세미만은 7천200만원, 50∼55세미만은 3천600만원 등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순부담액이 줄었다.
50대 후반부터는 순부담액이 마이너스(순혜택)로 돌아섰다.
55∼60세미만의 순혜택은 1인당 300만원 수준이었으나, 60∼65세미만 4천400만원, 65∼70세미만 4천100만원 등 60대는 4천만원대로 커졌다.
2011년 현재의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가 맞다면 2012년이후 태어난 미래세대의 1인당 순부담액은 평균 3억9천6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