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관료들의 산하기관 및 공기업의 낙하산 인사가 논란이 된 가운데, 금융권까지 관료 낙하산 인사가 전면 올스톱됐다. 금융권에서는 낙하산 인사보다 내부승진 인사가 금융사를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관료 대신 정치인이 대거 내려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정부 부처의 산하기관 낙하산 인사가 도마에 오르면서 금융당국 고위직의 금융사 이동에 제동이 걸렸다.
최근 한국선급, 해운조합 등에 해양수산부 출신 관료들이 최고경영자로 내려온 것이 이번 세월호 참사의 원인중 하나라는 여론을 감안한 조치다.
관료 출신들이 대거 포진한 산하기관들의 부실이 드러난 데다가 분위기가 좋지 않기 대문이다. 이렇게 되면 모피아(재무관료들)와 금피아(금융감독원) 출신의 낙하산 인사에 제동이 걸렸다.
현재 공석이지만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 관료로 사실상 내정됐던 손해보험협회장과 주택금융공사 사장 자리는 정해진 바가 없게됐다. 거기에 퇴임후 금융권 진출을 염두해둔 금감원 임원들과 금융위원회 간부들도 손발이 묶이게 됐다.
금융권은 바람직하다는 반응이다. 그간 각종 금융협회와 은행, 보험사, 카드사, 저축은행 등 금융권에서는 내부 인사 승진을 통해 운영되는 선순환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왔다.
현재 각 금융사는 공채로 입사하면 내부 승진을 통해 전무나 부사장 자리까지는 갈 수 있으나 그 이후부터는 기재부나 금융위원회, 금감원 출신들이 꿰차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관료출신들이 방패막이는 될 수 있어도 성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어, 이제는 내부승진 인사를 자리잡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금융권 CEO 중 관료출신은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전 재정경제부 제2차관), 임종룡 농협금융지주 회장(전 국무총리실장), 최규연 저축은행중앙회장(전 조달청장), 김근수 여신금융협회장(전 기재부 국고국장), 홍영만 자산관리공사 사장(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진웅섭 정책금융공사 사장(전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등이다.
한편으로는 금융권 관료들의 낙하산 대신 정치인 출신 낙하산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최근 예금보험공사 감사에는 문제풍 전 새누리당 충남도당 서산·태안당원협의회 위원장이, 기술보증기금 감사에는 박대해 전 의원이 각각 선임된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