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거론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은 '동시다발 실험'(salvo test)을 의미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프리 루이스 미국 비확산센터(CNS) 소장은 5일(이하 현지시간)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에 북한의 핵실험은 한 핵실험장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핵물질을 한꺼번에 터뜨리는 실험이 될 가능성을 가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 억제력을 대폭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핵시험도 배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점에서 무엇을 실험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실험하느냐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제했다.
따라서 북한이 말하는 '새로운 형태'를 고려하면 같은 핵실험장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핵물질을 한꺼번에 터뜨리는 실험이 될 것이라면서 대부분의 핵 보유 국가들이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실험을 하기 위해 심지어 다섯 개의 폭발 장치를 동시다발적으로 터뜨리는 핵실험을 했다는 점을 들었다.
루이스 소장은 이런 방식이 혹독한 날씨와 예산 부족 및 핵 물질·시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옛 소련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면서, 옛 소련이 146회의 동시 핵실험에서 400개를 폭발시킨 반면 미국은 63차례 동시 실험에서 158개를 터뜨렸다고 소개했다.
그는 "북한도 옛 소련과 조건이나 상황이 비슷하다"며 "특히 북한의 핵실험장은 겨울 추위와 봄 홍수가 더 심하다"고 강조했다.
루이스 소장은 또 다른 가능성으로 수직갱도 실험을 들었다.
현행 풍계리 핵실험장은 수평 터널 방식이어서 이 시설을 덮고 있는 산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수십 킬로톤의 실험밖에 할 수 없으며 더 큰 규모의 실험을 하려면 땅속으로 훨씬 더 깊이 수직 갱도를 뚫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도 알래스카에 있는 1천860미터 깊이의 수직 갱도에서 5메가톤의 핵실험을 한 바 있다.
루이스 소장은 "굴착 비용 등 여러 요인을 감안하면 깊이 파 내려가는 것은 아주 어렵고 풍계리가 아닌 다른 실험장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며 "아무도 알 수 없는 일이기는 하지만, 지금까지는 북한이 제2의 실험장을 확보했다는 보고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 가능성으로 열핵물질의 대기권 실험 등을 꼽았다.
이는 제한적 및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에 위배되는 것인데, 북한은 서명국이 아니라는 것이다.
루이스 소장은 중국이 방사성 물질 누출을 우려해 이 실험이나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 발사 등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하 핵실험에서 이런 방식으로 옮겨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나 "중국이 어떻게 생각하든 김정은이 더 이상 신경쓰지 않는다면 대기권 실험을 강행할 공산이 있다"며 "이 밖에도 그가 선택할 수 있는 도발 방법은 여럿"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