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해온 질문… 아직도 세상에는 답 없어
링컨은 미국 내전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통치는 의롭다'고 말해
이데올로기에서 빠져나와 로마서 8장처럼 피조세계 회복해야
인본적 행동주의와 방관자, 양극단 경계하며 '참여하는 제자도' 추구

이정훈
이정훈 교수가 복음적인 공정과 정의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정훈 교수 유튜브 채널

이정훈 교수(울산대)가 ‘성경이 말하는 공의와 정의’에 대한 강의 영상을 2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이 교수는 서론에서 “하나 마나한 얘기로 들리겠지만, 결론부터 얘기하면 ‘정의는 곧 하나님’”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도입부에서 최근 한국에서도 미국에서도 ‘입시비리’가 공정과 정의의 문제에서 화두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부유층의 ‘입시비리’를 기획했다 구속된 마이클 싱어(Michael Singer)의 예를 들며 이 일에 연루된 할리우드 배우들에 대해서는 “헐리우드 좌파의 위선이 드러났다”고 했다.

그는 미국의 링컨 대통령의 두 번째 대통령 취임 연설문을 일부 소개하며, 그는 “한 편의 완성된 설교문을 보는 것 같았다.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묵상한 링컨의 영성가로서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링컨이 연설문을 썼을 1865년 당시 유행하던 설교문들을 찾아봤는데, 당시 미국인의 대다수가 기독교인이던 시절에 노예제도를 옹호하고 합리화하던 설교들이 많았다며 “당시 노예제도가 일상적이었다. 그것이 시대정신이다”라고 했다.

그는 ‘양쪽에서는 같은 성경을 읽는다’라는 연설문의 한 구절을 가리키며, 미국의 내전 당시 북군과 남군 양 진영이 다 각 진영의 승리를 위해 같은 하나님께 기도하는데 ‘양쪽 모두 다 기도 응답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 링컨의 말을 인용한다.

이어 김 교수는 연설문에서의 링컨의 말 “이 거대한 골칫거리인 전쟁이 어서 끝나기를 간절히 바라고 열렬히 기도한다. 하지만 만약, 지난 250년간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노예들의 고역으로 축적한 부가 다 없어질 때까지, 3000년 전에 누군가 말했듯이 채찍에 맞아 흘린 핏방울의 방울방울이 칼에 맞아 흘린 피로 다 갚아질 때까지 전쟁이 계속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 해도 우리는 여전히 ‘주님의 판단이 의로우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를 인용하며 “부당하게 맞아서 흘린 핏방울들이 다 갚아질 때까지 이 전쟁을 멈추지 않아 주실 수 있다”며 “현재 미국에서도 마이클 싱어 사건을 통해 공화당이 민주당을 향해 ‘패션좌파들의 위선이 다 드러났다’고 하면, 민주당에서도 ‘트럼프도 펜실베니아 대학에 뭐 했다며’라고 받아치며 서로 ‘갑론을박’하고 서로의 승리를 위해 기도하는데, 하나님은 이것을 보며 뭐라고 하실까?”라고 했다.

김 교수는 마치 미국의 남·북 내전이 ‘노예제도를 비롯한 미국의 죄에 대한 심판’의 결과라고 설명하는 듯하다. 인간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 진영을 나누고 서로의 이익을 위해 싸우는데, 미국 내전의 예처럼 심지어 크리스천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게 이 교수의 생각이다. 링컨시대의 미국의 내전처럼 전쟁이란 큰 고통을 경험하며 이런 고난을 주신 하나님에 대해 의문을 품지만, 링컨의 고백처럼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는 온전하다”라고 김 교수는 말했다.

그는 정의과 공정의 문제는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해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세상 속에는 답이 없다며 이 문제에 대해 “법학자로서 하나님을 바라보라고 하고 싶다. 우리 수준에서 답이 나오지 않는다”라고 했다.

김 교수는 “내가 한국 교회사를 좋아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일방적인 은혜와 사랑이 폭발한 역사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수많은 시기에 엄청난 물자가 동원되며 선교를 했는다. 한국만큼 부흥하고 성공한 예가 많지 않다”라며, 구한 말 한국 선교사로 온 윌리엄 베어드의 사모 애니 베어드가 쓴 소설 ‘따라 따라 예수 따라 가네’에 대해 얘기한다.

그는 “그 소설은 선교 과정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로서, 비록 소설의 형식을 빌리긴 했지만 허구는 아니”라며, 그 소설에서 구한 말 한 가난한 가정의 소녀가 민며느리 제도로 어린나이에 사실 상의 인신매매로 팔려가서 남편의 구타 및 시어머니의 학대를 견디며 힘겹게 살아간다. 여성 혼자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어려운 시절에 남편이 죽자 또 다른 남자에게 팔려 가서 고통을 당하다 애니 베이드를 만난 ‘보배’라는 여성에 대해 얘기한다. 그러면서 보배가 베어드로부터 회심하고 가족들을 전도하여 여성에게 혹독했던 그 시절 가운데도 “하나님의 나라를 경험하고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법과 제도를 만들고 사회에 참여하여 보배같은 피해자들을 보호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은 구한 말처럼 ‘민며느리 제도’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보배같은 슬픔을 가진이가 현재에는 없는가’라고 반문했다. 즉, 입법과 제도로는 정의를 완성하지 못한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우리는 법과 제도를 만들고 사회를 참여해야 하지만, 자유주의 신학자들처럼 우리힘으로 이상적인 나라를 만들자는 행동주의에 대해 “이것은 하나님과 성경을 모르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엄청난 인구를 학살을 한 중국의 주석 마오쩌뚱이나, 자본가들과 지식인들을 죽인 캄보디아”라고 예를 들었다.

또한 그는 “정의의 문제는 종말론과 밀접하다”라며 “그러면 우리는 굴파고 들어가야 하는가?”라고 반문하며 다른 극단도 경계했다.

김 교수는 로마서 8장 19~22을 제시하며, “한국교회는 이제 시야를 넓혀야 한다. 단순히 사회과학적 틀 안에서, 이데올로기 안에서 무엇이 공정한지 어떻게 정의를 실현할지 수준 낮은 옥신각신의 논쟁이 아니라, 위대한 하나님의 창조가 회복된다는 관점에서 굉장히 거시적인 관점에서 로마서의 8장의 말씀을 묵상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자신의 힘과 능력으로 이상세계를 이루려고 했던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얘기했던 ‘행동주의자’가 아닌, 즉 “‘우리가 열심히 노력해서 하나님 나라를 세워보세’ 하는 교만과 결과적으로하나님을 대적하는 악한 역사가 아니”라며 “새 피조물로서 로마를 정복한 바울처럼 방관자가 아니라 ‘참여자적 제자도’로 세상을 정복한는 것이 이 시대에 요구 된다”고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정훈교수 #공정과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