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3% 수준이던 물가가 불과 두 달 만에 4%대를 넘어 5%대에 진입했다. 코로나19 위기와 함께 찾아 온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욱 가중되며 국제 유가 등 에너지 가격은 물론 원자재와 곡물 가격까지 끌어 올린 탓이다.
공급망 위기 속에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까지 폭발하면서 걷잡을 수 없게 됐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고심하고 있지만 급등세를 제어할 마땅한 카드가 보이지 않아 하반기에는 6%대까지 치솟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5월 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월 대비 5.4%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이 5%대에 올라선 것은 2008년 9월(5.1%) 이후 13년 8개월 만이다. 상승 폭으로 따지면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대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석유류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개인서비스 가격도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여기에 전월까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던 농축수산물 마저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전반적으로 물가가 크게 뛰었다.
상품과 서비스 물가는 각각 1년 전보다 각각 7.6%, 3.5% 상승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 물가는 4.2% 올랐다. 축산물 가격은 돼지고기(20.7%), 수입 쇠고기(27.9%), 닭고기(16.1%) 등이 오르면서 무려 12.1% 상승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6.7% 상승했다. 이는 2008년 7월(7.1%)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코로나19 위기와 함께 지속되던 저물가 기조가 지난해 중반부터 바뀌기 시작해 최근에는 물가 상승 흐름이 더욱 가팔라졌다.
작년 10월 3%대로 올라선 물가는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3월에는 4%대(4.1%)로 올라선 뒤 불과 두 달 만에 5%대 중반까지 치솟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경제 여건이라면 추가적인 상승 압력 없이도 앞으로 몇 개월 동안은 5%대 고물가 흐름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향후 물가 전망과 관련해 "다음 달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과 비교해 0.4% 이하로 하락하지 않으면 5%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물가가 지금 수준을 유지하면 올해 연간 상승률이 4.3%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도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해 6월과 7월에도 5%대 높은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국제유가와 국제식량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수요측 압력이 더욱 커지면서 물가상승 확산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코로나로 급격히 불어난 유동성이 여전히 회수되지 않은 채 시장에 풀려 있고, 우크라이나 사태는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어 공급망 불안도 해소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한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석유수입 부분 금지, 중국 내 봉쇄조치 완화, 주요 산유국의 증산규모 확대 등으로 향후 국제유가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곡물 등 세계 식량 가격은 전쟁 여파, 주요 생산국 수출제한 등으로 상당기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팬데믹 기간 중 억눌렸던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수요측 압력이 커지면서 국내 개인서비스물가 오름세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오름세를 제어할 마땅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추경호 부총리도 최근의 물가 상승 흐름에 대해 "대외 요인이 굉장히 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외 요인은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도 함께 겪고 있는 숙제들로 불가피한 요인은 불가피한대로 감내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 정책으로 물가를 잡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토로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달 30일 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원자재 할당관세 인하와 부가가치세 감면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하향 조정 폭은 0.1%포인트(p)에 불과하다.
하반기 물가가 6%까지 오를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도 있다. 6%대로 올라서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역시 물가 상승 압력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금리 인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물가는 추가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했다.
/뉴시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