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이슬람·국제] 지난 27일(이하 현지시간) 이라크와 시리아, 이란, 수단, 리비아, 소말리아, 예멘 등 이슬람권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한시적으로 금지한 미국 정부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발효된 가운데 이에 대해 유럽 각국은 물론 미국 내에서조차 비난과 항의가 빗발치고 있지만 정작 이슬람교 중심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등은 특별한 반응없이 침묵하고 있다.
수니파 이슬람 종주국이며 메카와 메디나, 양대 이슬람 성지를 품고 있는 사우디의 살만 국왕은 지난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지만, 이번 사태에 관해선 공식 논평을 하지 않고 있다.
또 이슬람 학문의 요람 카이로가 있는 이집트의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도 침묵하기는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57개 이슬람 회원국을 망라하는 이슬람협력기구(OIC)가 아무런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29일 미국의 행정명령 발동에 반발해 보복 조치까지 거론하고 나선 이란, 이라크와 달리 나머지 이슬람 국가들이 침묵을 지키는 이유가 이슬람권의 연대감 결여에 있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는 트럼프의 외교정책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NYT는 또 이슬람 세계 지도자들이 국내에서 강력한 정통성을 누리지 못하다 보니 자국민의 분노와 미국 대통령에게서 끌어낼 수 있는 분노 사이에 교묘하게 걸터앉아 있다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이슬람권 지도국을 자처해온 사우디가 트럼프 새 정부와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행정명령에 반발하는 이슬람 국가들을 외면하자 이슬람권의 시선이 곱지 않다고 30일 보도했다.
WSJ은 그동안 종교적 영향력을 누려온 사우디가 지금 그 영향력 때문에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