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칼빈학회 정례발표회가 서울 장신대에서 열리고 있다. ⓒ김진영 기자 |
한국교회엔 장로교의 영향이 크고, 장로교는 칼빈의 신학과 사상을 주로 따르고 있다. 장로교 목회자나 신학자들 중 소위 ‘칼빈주의자’가 많은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 ‘칼빈주의’의 특징은 무엇일까.
총신대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박건택 교수는 16일 서울 장로교신학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칼빈학회(회장 박경수 교수) 정례발표회를 통해 ‘한국에서의 칼빈주의의 현실’을 고찰했다.
박 교수는 “한국에서 칼빈주의 역사는 장로교회의 역사와 같이 가며, 그 특징은 무엇보다 먼저 교단 분열이었다”며 “한국 예수교장로회(예장)는 하나의 교회로 머물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시간이 가면서 산산조각 난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 양상을 보게 되지만, 흥미로운 것은 이 거대 장로교 교단들이 정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명목상 칼빈주의적인 전통을 유지한다는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박건택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김진영 기자 |
그는 “한편 통합과 기장은 신학적 자유주의와 부분적이나마 종교다원주의를 수용했다. 전자가 칼빈주의 전통과 바르트주의의 공존을 인정했다면, 후자는 한국의 신학적 독창성을 갖고자 노력했고 그 결과 ‘민중신학’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며 “또 전자가 한국의 경제발전을 지지하는 일에는 적극적이었으나 권위계급을 바꾸는 일에는 소극적이었다면, 후자는 칼빈의 신학적 유산을 외면한 채, 한국의 군사 독재에 대한 저항정신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이와 같이 칼빈주의 전통의 장로교회는 고백적 그룹(합동, 고려 등)과 다원주의적인 그룹(통합, 기장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 두 그룹 사이의 갈등은 한국교회가 제10차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 개최를 준비하면서 다시 한 번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박 교수는 한국 칼빈주의의 특징들로 ▲대부분의 장로교회들이 그들의 에너지를 교회 성장에 집중한 점 ▲국내 칼빈연구 기관들 대부분이 서양의 결과물을 모방해 온 점 등을 꼽았다.
특히 그는 국내 칼빈연구의 서양화에 대해 “칼빈 연구를 위한 한국의 기관들은 그 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그 학문적 산물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결과물들을 모방했다”며 “한국 상황에서 요구되는 자신들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묻지도 못한 채 학문의 권력화로 전락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