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가 위치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티메프 사태 피해자 단체원들이 '모두가 예비 피해자, 특별법 제정 요구합니다' 검은우산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던 모습. ⓒ뉴시스
최근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가 위치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티메프 사태 피해자 단체원들이 '모두가 예비 피해자, 특별법 제정 요구합니다' 검은우산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던 모습. ⓒ뉴시스

지난달 발생한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의 대규모 정산금 지연 사태 이후, 이커머스 업계의 긴 정산 주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유통업계는 이번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60~70일에 달하는 긴 정산 주기와 에스크로 방식 미도입을 지목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회와 금융당국은 이커머스 업체들의 정산 주기를 40일 이내로 단축하는 법제화와 에스크로 방식 의무화를 검토 중이다. 에스크로는 플랫폼 업체가 결제 대금을 은행 등 제3자에게 맡겨 중개 지급하는 방식으로, 제2의 티메프 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의 정책 검토에 앞서 이커머스 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정산 주기 단축에 나서고 있다. 11번가는 '안심정산' 서비스를 통해 상품 배송 완료 다음날 정산금의 70%를 우선 지급하고 있으며, SK스토아는 '고객사 케어 프로그램'을 통해 정산 주기를 10일에서 3일로 단축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매달 1일과 15일에 정산을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강제적인 정산 주기 단축이 중소 플랫폼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빠른 정산을 위해서는 양호한 재무 상태가 필요한데, 성장 단계에 있는 중소 플랫폼은 대규모 투자 유치 없이는 현금 유동성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산 주기 단축은 소비자들의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선호 현상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티메프 사태' 이후 소비자들은 중소 플랫폼 대신 11번가, G마켓 등 대기업 기반의 이커머스 업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앱 분석 서비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11번가의 일간 사용자(DAU) 수는 약 161만 명으로, 티메프 결제 기능이 정지된 7월 24일(114만 명) 대비 약 40% 증가했다. G마켓도 8월 1일부터 15일까지의 여행 상품 카테고리 방문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티메프 사태' 이후 불안감이 커진 소비자들이 가격 경쟁력보다는 상대적으로 재무 건전성이 뛰어난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판매자들 역시 쿠팡이나 11번가, G마켓뿐만 아니라 알리익스프레스로도 많이 움직이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정산 주기를 단축할 경우 상대적으로 현금 보유량이 적은 중소 플랫폼에게는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커머스 #티몬 #위메프 #티메프 #티메프사태 #기독일보 #기독일간지 #기독일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