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신규 확진자가 연일 폭증하면서 병상 뿐 아니라 의료인력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정부가 병상 확충에 따라 의료인력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정부가 파견을 위해 모집한 인력은 간호사 430명이고 민간의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중에서도 중환자실 유경험자는 100명이 안되는 상황이다.
기존 인력은 장기간 코로나19 업무로 극도의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데다, 추가로 투입할 인력 또한 부족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당장 전문 인력을 확충할 수는 없는 만큼 정부와 의료계 간 소통을 통해 사기진작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0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8일 기준 중수본이 의료기관에 파견을 위해 모집한 간호사 인력은 약 430명이다. 이중 중환자실 유경험자는 100명이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사의 경우 파견 가능한 인력이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중수본 관계자는 "현재 민간의사는 거의 없다"며 "민간의사 모집과 관련해서는 협회쪽과 얘기를 해야 하겠지만 실제로 모집 공고를 통해서는 의사 인력 모집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수본 관계자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자세한 숫자를 바로 말씀드리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2~3월 발생한 1차 유행은 대구·경북에서 주로 발생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파견이 이뤄졌다. 반면 3차 유행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이라 파견 가능한 인력이 제한적이다.
최근 일주일간 코로나19 위중증환자 현황을 보면 3일 117명이었던 위중증환자는 9일 149명으로 늘었다. 이는 지난 10월18일 종전의 위중·중증환자를 별도 구분하던 것을 위중증환자로 일괄 개편한 현재의 분류 체계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위중증환자 수가 140명대로 나타난 건 지난 9월22일 이후 처음이다.
치료를 통한 격리해제자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더 많이 나타나면서 현재 격리치료를 받는 환자도 8699명에 달한다. 서울에만 3610명의 확진자가 의료기관 등에서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그 결과 전국의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4900개 중 확진자가 입원가능한 병상은 1714개만 남았다. 특히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를 위한 장비와 인력 등을 완비하고 중수본으로부터 지정받은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전국 177개 중 152개가 사용 중이며 25개만 비어 있다.
중수본 지정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 외에 각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신고한 중증환자 치료 병상을 합쳐도 인력과 장비 등이 구비된 즉시가용 병상은 18개 밖에 남지 않았다.
정부는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을 최대한 확보하고 임시병원 개념인 모듈병원 설치,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 지정 등을 통해 병상을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환자를 진료할 의료진이 없으면 병상은 기능을 할 수가 없다.
정부는 중수본에서 확보한 인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의료진이 아니면 환자를 치료할 수가 없다.
코로나19 발병 이후 11개월이 지나면서 의료인력의 피로도는 매우 높아졌다. 지난 5월 대한간호협회가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한 간호사 960을 대상으로 근무실태조사를 한 결과 52.6%가 과도한 업무로 인한 피로누적, 31.7%가 장시간 근무에 따른 집중력 저하 등을 호소했다. 그로부터 7개월이 지난 만큼 피로도는 그때보다 더 높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한만호 대한간호협회 정책전문위원은 "초기부터 활동했던 인력들은 체력이 소진되고, 자체 인력으로 운영을 하다보니 강제적인 순환배치를 하는데 이러다보니 현장의 분위기가 굉장히 쳐져 있다"고 전했다.
각 의료기관에서는 이미 코로나19 업무에 대한 인력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 지난 10월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코로나19 확진자를 치료하는 의료기관 2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9%가 인력 부족을 호소했다.
하지만 당장 코로나19 중환자를 진료할 전문인력을 보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천은미 이화여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19 중환자는 결국 호흡기 환자인데, 호흡기분과전문의가 전국에 400~500명 정도"라며 "입원, 외래 환자도 다 보고 있는 상황인데 환자를 두고 갈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업무를 맡을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천은미 교수는 "의료계와 논의를 통해 요구사항이 뭔지 파악하고, 사기 진작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만호 정책전문위원도 "위험과 강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보상 체계가 없다보니 인력들의 사기가 굉장히 떨어져 있다"며 "동기를 부여할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고 했다.
/뉴시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