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확인 15점 중 깔따구류 없어
나방파리, 지렁이, 곤충 등으로 무관
중구 아파트 관련 유충, 지렁이 판정

백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이 28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수돗물 유충 민원현황 및 조치계획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 뉴시스
백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이 28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수돗물 유충 민원현황 및 조치계획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서울시가 운영하는 모든 정수센터의 입상 활성탄지를 포함한 정수과정 전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그동안 서울 곳곳에서 발견된 유충의 생물종 분석 결과 서울시 수돗물 유충 민원의 원인은 수돗물 공급계통이 아닌 외부요인에 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8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수돗물 유충 사태와 관련해 그간의 추진사항과 조사결과, 향후 대응계획 등을 발표했다.

시는 수돗물 유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지난 22일 생물·상수도·환경 분야의 전문가와 서울문연구원의 연구사 등으로 '민·관합동 조사단'을 구성해 정수센터를 점검했다. 점검결과 모든 정수센터의 활성탄지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가 운영하는 정수센터의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인천과 달리 모두 완전 밀폐형이다. 방충망과 벌레 유입방지 시설도 잘 정비돼 있었다.

또 2016년부터 도입한 국제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22000) 위생관리기준을 충족해 활성탄지의 내·외부 환경 모두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었다는 것이 조사단의 설명이다.ISO 22000은 식품 생산 및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해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국제표준규격이다.

앞서 시는 민·관합동 조사단 조사에 앞서 지난 16~17일에 '환경부-서울시 합동 조사'를 실시해 두 차례 정수센터 점검을 완료했다.

지난 14일부터 26일까지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로 접수된 유충 민원은 총 73건으로 집계됐다. 유충 관련 언론보도가 본격화된 14일부터 23일까지는 관련 민원 50건이 집중 접수됐다.

시는 유충 관련 민원이 접수되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주변 상황에 따라 3~10개 지점의 수돗물을 채수해 서울물연구원에서 물 속에 유충의 알이나 이물질 등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이후 현장에서 유충의 시료를 확보한 경우 국립생물자원관에 종분석을 의뢰해 그 결과를 확인한 뒤 수돗물과의 연관성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를 거친다.

백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기자설명회에서 "인천시에서 수돗물 유충 관련 민원이 다수 발생하면서 화장실 등에서 유사한 벌레가 나오다 보니 시민들이 신고를 한 것같다"며 "유충의 실태가 규명되면서 민원이 잠잠해졌다"고 말했다.

백 본부장은 "유충이 장마철 등 습기가 많은 우기에 많이 발생하는 만큼 집중적으로 입상활성탄 감시 체계를 가동하겠다"며 "유충 민원이 발생한 가정에는 직접 방문해 벌레가 어디서 발생한 것인지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28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리는 수돗물 유충 민원현황 및 조치계획 기자설명회에 앞서 서울물연구원 연구사들이 시민의 민원으로 발견된 나방파리 유충을 확인하고 있다. ⓒ 뉴시스
28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리는 수돗물 유충 민원현황 및 조치계획 기자설명회에 앞서 서울물연구원 연구사들이 시민의 민원으로 발견된 나방파리 유충을 확인하고 있다. ⓒ 뉴시스

시는 수돗물 유충 신고로 채수한 수돗물 중 서울물연구원이 정밀 분석을 완료한 건에서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수거한 유충의 실물 중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에 생물종 분석을 의뢰해 26일까지 확인된 유충시료는 15점으로 이중 깔따구류로 확인된 유충은 단 한 점도 없었다고 밝혔다.

가장 많이 발견된 것은 나방파리류, 지렁이류로 수돗물과 무관한 유충들이었다. 구체적으로 나방파리류 7점, 지렁이류 4점, 나방류 1점, 곤충 1점, 깔따구류는 아니지만 종구분이 불가한 2점으로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특히 지난 19일 서울 중구 한 아파트(오피스텔)의 욕실 바닥에서 발견된 유충은 '지렁이'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 이물질이 퇴적돼어 있었던 샤워실 배수구가 주요 서식 환경으로 밝혀졌다.

백 본부장은 "국립생물자원관에 (서울에서 발견된 유충) 15점을 의뢰했다. 그 중에 한 건도 깔따구 유충으로 나온 적이 없고 모두 나방파리, 지렁이, 나방류 곤충 등 이었다"며 "유충이 발견된 곳이 세면대, 싱크대 등인 것으로 판단할 때 한 점도 깔따구 유충으로 나오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백 본부장은 "특히 중구에서 발견된 실지렁이는 역학조사를 하니 욕실 샤워부스 배수구가 상당히 오염돼서 그곳에서 지렁이가 번식한 걸로 판별됐다"며 "동대문구 한 아파트 수도꼭지에서 유충이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돼 확인하니 이 역시 나방파리류 유충이었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향후 조치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정수센터 입상 활성탄지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점차 높아지는 수돗물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관망 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전문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유충 민원 발생 가구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 조사도 실시한다.

백 본부장은 "최근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 확산으로 화장실, 세면대 등에서 발견한 유충 관련 신고가 발생하고 있으나 시는 수돗물의 생산과 공급 전 과정에 철저한 위생관리를 실시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배관 전문가, 해충 퇴치 전문가 등으로 인력을 꾸려 역학조사 등을 실시해 유충 발생 지역과 시설 등에 대해서 정밀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수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