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8년째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등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기준으로 한해동안 우리나라에서 자살한 사람은 1만5566명을 기록하면서 하루 평균 42.6명꼴로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10일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을 맞아 발표한 'OECD 헬스데이터 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10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33.5명으로 2009년 28.4명보다 5.1명 늘었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을 뿐 아니라 회원국 평균치인 12.8명에 비해 2.6배에 달한다.
한국에 이어 헝가리(23.3명), 일본(21.2명), 슬로베니아(18.6명) 등의 순으로 자살률이 높았으나 한국과는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률은 5년 전에 비해 남녀 모두 감소한 것에 비해 한국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OECD 회원국 자살률 평균치를 보면 남성이 21.6명에서 20.7명으로, 여성이 6.2명에서 5.8명으로 줄어든 반면, 우리나라 남성 자살률은 2005년 45.1명에서 2010년 49.6명으로, 여성 자살률은 18.6명에서 21.4명으로 증가했다.
또 통계청의 '2012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청소년 사망원인 1위를 기록한 것도 '고의적 자해' 즉 자살(13%)이었다.
복지부의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가운데 15.6%는 평생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고, 3.3%는 자살을 계획하며 3.2%는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 사이에는 3.7%가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고려했고, 0.3%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복지부는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1년 동안 10만8000명 정도가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자살 문제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다면 더 큰 사회문제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문제의 심각성 때문이다.
한국자살예방협회 대외협력위원장인 윤대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증으로 인한 '마음의 분노'에 대해 주목하면서 "이것이 외부로 표출되면 최근 같은 '묻지가 범죄'가 되고 내부로 향하면 '자살'로 표출된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한국 사회가 성장 일변도로 가며 풍족해졌지만 개개인의 정서는 오히려 피폐해진 것 같다"며 "단기적으로는 자살 고위험군을 잘 관리해 전체 절반에 이르는 충동적인 자살을 막고, 장기적으로는 사회 전반의 성장 일변도 가치관을 감성적·철학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10일은 '세계 자살 예방의 날'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자살예방협회(IASP)가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2003년 제정돼 올해로 10번째를 맞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