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8일 서울~평양 남북 연락사무소 직통 전화에 응하지 않았다. 365일, 24시간 남북 소통창구로 세워졌던 개성 공동연락사무소가 폐쇄 위기에 놓였다. 2018년 9월 개소한 뒤 1년 9개월 만의 일이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의 대남 기구인 통일전선부는 지난 5일 심야 담화를 내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지시로 연락사무소 폐쇄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이날 북측은 우리측의 통화에 응하지 않았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담화에서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막지 않는 남측 정부를 비난하면서 연락사무소 철폐, 개성공단 폐쇄, 남북 군사합의 파기 등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남북은 지난 1월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연락사무소 운영 잠정 중단에 합의하는 대신, 매일 오전·오후 연락사무소 간 통화로 소통창구로서의 기능을 유지해왔다.
통일부에 따르면 통전부 담화가 나오기 전인 지난 5일 오후 마감 통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여 대변인은 "지금까지 북측이 통화 연결 시도에 대해 전화를 받지 않은 적은 없었다"고 밝혔다.
여 대변인은 북측의 통화 거부를 연락사무소 운영 중단으로 해석하는지와 관련, "오늘 오후에도 예정대로 통화를 시도할 예정이다. 정부는 상황을 지켜보도록 하겠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연락사무소 기능 유지의 징표와 같았던 서울~평양 직통 전화마저 두절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연락사무소가 사실상 폐쇄 위기에 놓였다는 관측이 나온다.
연락사무소는 2018년 남북 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합의되고 같은 해 9월14일 개소했다. 연락사무소는 차관급인 남북 연락사무소장이 주 1회 소장 회의를 개최하는 등 상시 소통창구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해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 소장 회의는 열리지 않았지만, 북한이 남측과 소통을 일절 거부하는 와중에도 연락사무소는 폐쇄되지 않고 유지됐다.
판문점 선언에 따라 개설된 연락사무소가 폐쇄될 경우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시작된 한반도 평화 분위기의 후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는 북측의 대남 비난 수위 고조, 연락사무소 불통 속에서도 북측과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북측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방부에 따르면 남북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과 양측 함정 간 국제상선공통망을 정상 가동하고 있다.
/뉴시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