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윤근일 기자] 27일 서울 중구 소공로 플라자호텔 그랜드 볼룸에서 열린 '드레스덴 선언 1주년 기념 PEACE KOREA 국제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각 섹션별로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길을 논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번 섹션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의 전문가들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각자의 의견과 독일 통일과정에서의 경험 또한 공유했다.
피터 백 (Peter M. Beck) ABD 아시아재단 한국지부 전 대표는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2050년 통일 한국의 경제력은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말하고, 다만 "통일의 가장 큰 걸림돌은 북한 정권"이라고 지적했다. 백 전 대표는 "한국 통일의 길은 멀고도 어려운 길"이라면서 "통일은 다음 10년 안에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점진적보다는 갑작스럽게 닥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백 전 대표는 "북한 경제와 인구 고도의 세뇌와 고립 등 남북한의 격차로 인해 한반도 통일은 독일 통일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는 박근혜대통령이 통일 열망을 현실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서 백 전 대표는 개성공단 확대와 평화공원 논의, 5.24조치 해제 등을 주장했다.
군다 뢰스텔 전 독일 녹색당 대표도 "자유에 대한 갈망이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렸다"며 동독 출신이 자신이 했던 경험들이 한국에서 일어나기를 소망했다. 군다 전 대표는 자주적인 생각이 과거 공산주의 정권의 압박정책 속에서도 가능함을 언급하며 "모든 이들이 용기의 결과를 증명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평화·반핵·여성 및 제 3국 단체들이 1989년 이후 독일의 가치를 변화시킨 사례를 들며 독일 통일 과정에서 서독 시민단체의 역할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국에 대해 군다 전 대표는 "한국은 독일의 예를 통해 과거의 독일보다 통일 준비를 잘 할 것이다"며 "북한 주민들은 자유를 갈구하고 있고 이를 위해 그들이 객관적인 정보를 접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제분야 패널로 참석한 남성욱 고려대학교 북한학 교수는 한반도 U자형 경제벨트 구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한중 경제협력에 북한까지 참여시켜야 한다'는 경제협력 방안까지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남 교수에 이어 발제에 나선 에버하르트 라이스만 제논 회장은 통일 이후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변화과정에 있던 경험을 통해 "제논은 국가로부터 받은 많은 지원과 협조를 받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었기에 늘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무감을 가지고 있었다"며 독일 정부의 현명한 지원들이 동독 기업들의 통일 이후 성공적으로 독일 경제에 편입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했다.
사회문화분야 패널로 참석한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민족의 동질성 회복이 통일의 시작"이라며 "하지만 동질성 회복에 있어 남한은 인본주의적 기본가치 체계 확립을 추구하는 반면 북한은 노동당과 국가의 통제 하에서 변이됐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과제로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배려하며 조화시키기 위해서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상호간에 서로의 다양성과 개방성에 기초한 미래지향적인 민족 동질성 회복 추구의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도 "자손들에게 분단의 아픔과 동족끼리의 미움과 갈등을 대물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진정한 마음의 노래가 울려 퍼질 때 이질성을 극복하고 사회문화 통합의 길이 밝게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