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현재의 3%대에서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27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전문 경제기관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현재 3%중반으로 추정되나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이르면 오는 2018년부터 2%대로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잠재성장률은 인플레이션을 유발치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을 의미하며, 한 나라의 '경제 체력'을 가리키는 지표로 활용된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1980년대 만해도 7~8%대에 달했으나 1990년대 들어 5~7%로 떨어진 데 이어 2000년대 들어 4%대로 주저앉았다.
한은은 현재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3% 중반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곧 2%로 내려앉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성장을 이끌어나갈 생산가능인구가 줄기 때문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내년 3704만명을 피크로 2017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산률이 좀처럼 높아지지 않아 이런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최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 잠재성장률이 낮아지는 것도 불가피하다"며 "고령화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과제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2012~2017년 3.4%에서 그 이후에는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잠재성장률이 2050년대에는 1% 미만으로 추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잠재 성장률이 빠른 속도로 추락하기 앞서 구조 개혁 등을 통해 한국경제의 체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금융·공공부문 개혁 등이 자칫 시장의 불안을 더 키울 수 있다고 우려한다. 단기적으로 소비를 위축시키는 것은 물론 출산율을 더 떨어뜨려 성장 잠재력을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는 경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