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독연구원이 올해 마지막 강좌로 개설한 '바르트의 신학입문' 강독 세미나가 지난 8~29일까지 매주 월요일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에서 진행됐다.
독일의 신학자 칼 바르트가 1961~1962년 겨울 바젤 대학교에서 40년 간의 교수 생활에서 마지막으로 강의한 내용을 묶은 '개신교신학 입문'. 이 책의 강독 세미나 강사로 초청된 신준호 박사(인천제일교회 교육목사)는 지난 10월 새로운 번역과 장정으로 출간된 칼 바르트의 '개신교신학 입문'(복있는 사람)의 번역자이기도 하다. 기독일보는 신 박사의 강독 세미나 내용을 요약해 5회에 걸쳐 연재한다. 이번이 마지막 편이다. <편집자주>
신준호 박사는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지도교수 미하엘 벨커 교수 아래서 공부하고 10년 후인 2006년 가을학기부터 2007년 여름학기까지그 대학 신학부에서 칼바르트 교회교의학을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 강의는 하이델베르크대학 설립 이후 최초로 동양인에게 맡긴 강의로 남아졌다.
이 세미나의 마지막 시간이었던 29일 신 박사는 '아픔의 현장으로부터 벗어난 신학은 하나님이 외면한 신학이다'는 바르트의 말을 인용하며 "신학의 본질적 과업은 말씀에 봉사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전달되는데 봉사하는 그것이 신학의 본질이다"고 강조하며 "말씀의 중심은 십자가에 달리셨던 하나님의 아들이 40일간 보이셨다는 것, 엠마오의 이야기를 전하는 것이다. 이걸 좀더 정확하고 깊이있게 전하는 것이 신학이고 말로 하는 것이 전도가 되겠죠"라고 말했다.
그는 '저 시대적 늑대들과 함께 울부짖거나...'라고 쓴 바르트의 말을 인용하며 "60년대 나왔던 신 죽음의 신학을 염두해 두지 않았을까 한다. '신은 죽었다'하는 책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팔리고 우리나라도 번역이 됐다. 이 책은 우리가 할일은 신의 사체를 남김없이 정리해서 처리하는 것 뿐이라고 한 혁명적이고 급진적인 신학이었다. 이렇게 과격하게 나가니까 피끓는 젊은이들이 매력을 느꼈는지 모른다"며 "오늘 우리의 신학은 '신 죽음의 신학'이라는 시대적 늑대가 아니고 자본주의라는 교활한 여우와 함께 할 위험이 있다. 요리 숨기고 저리 숨기는 시대적 여우들과 함께 재주를 넘고 변신을 시도하는 신학, 그렇게 표현할 수도 있다. 신학이 자본주의에 넘어가고 권력에 넘어가서, 얼마나 자주 교회를 잘못 인도하고 오히려 교회를 방해했던가"라고 했다.
신 박사는 "'예수 그리스도가 아니라 오히려 적그리스도에게 봉사하고 있지 않은가'는 바르트의 말을 우리가 늘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간직했을 때 아모스 5장에서 벗어나 희망을 가질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끼가 나무의 뿌리에 놓였다는 것을 읽고 또 읽고 기억하고 간직할 수 있는 것이 바르트 신학의 도전이고 장점이고 힘이다. '심판과 죽음이 없다면 신학 안에는 어떤 은혜도 생명도 없다'. 이걸 덮고 미지근하게 넘어가는 신앙서적들은 심판 아래 놓여야 된다. 심판이 없이는 은혜로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믿을 수 없는 중에, 바랄 수 없는 중에, 도무지 사랑할 수 없는 중에, 희망과 더 큰 신학적 추진력을 발견한다. 오히려 거기서만 발견한다. 가장 절망이 절정에 달했을때 아브라함이 100세가 되고 다윗이 갈데가 없어서 블레셋에 가서 미친짓을 하고 인생이 거의 끝장에 이르렀을 때 희망이 생긴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신준호 박사는 '신학 작업의 첫째 근본적 행위는 기도다'는 바르트의 신학적 입장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말은 총신에도 낯설고 감신에도 낯선 용어이다. 총신은 반대는 할 수 없겠지만 감신·한신 쪽에서는 이러면 학문이 안된다고 할 것이다. 기도 없이 신학 없이 해야 학문이지 할 것이다"며 "수업 시작할때 많은 경우 기도로 시작해놓고 수업 내용은 기도를 떠난다. 기도한다는 것은 근원적으로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과의 대면 안에서 강의가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책 한줄한줄 내용이 모두 하나님의 면전에서 성령 안에서 진행돼야 그게 기도한다는 뜻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학과 설교가 바르트에게서는 분리가 안된다. 하나이다. 하나는 강의실, 하나는 교회라는 것이 다를 뿐이지 근원에서는 같은 작업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계몽주의에서는 학문성 때문에 그렇게 되면 안된다고 하는 것이다. 종교철학 때문에. 무전제로 공리에 따라 진행돼야 학문이 되는 것이지 이미 하나님을 전제하고 하나님을 찾는다는 것은 그쪽에서 볼때는 모순이지만 칼 바르트의 복음, 성서의 관점에서는 당연히 그렇게 돼야된다. 그것이 기도의 의미다"며 "여기서 길은 둘로 갈라진다. 겹쳐질 수 없는 길로 갈라지고 이 길이냐 다른 길이냐를 신학을 처음 시작할때 결단해야 한다. 이게 바르트냐 바르트가 아니냐를 결정 짓는다"고 설명했다.
■ 기도하면서 진행된다는 것은 천장에 천창이 있어야 돼
신준호 박사는 "우리나라는 천창이 있는 집이 거의 없어졌지만 여름에 별이 빛나는 밤에 천창이 있으면 너무 좋죠. 하나님의 사역과 말씀을 향해 열려 있어야 한다는 것, 이게 지붕에 구멍을 뚫은 것이라는 의미다. 말씀의 중심은 부활 이후 예수님의 40일의 사역이다. 죽음 이후의 존재, 죽음을 건너오셨다는 것이 무슨 사건이냐 하는 것이 내게 열려 있었을 때 그 다음에 신학이 기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덫에 걸린 생쥐처럼 맴돈다'"고 말했다.
그는 "너의 강의와 세미나가 위를 향해 열려있느냐? 위로부터 빛이 들어오느냐? 다메섹 도상의 빛이 네게도 들어오느냐 그 차이일 것이다. 이게 열린 것이 '기도의 시작이다'"며 "40일이라는 부활의 나타나심이 자기자신과 연관되는지 나의 죽음 이후에 대해서와 아무 연관이 없는 객관적 지식을 쌓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신 박사는 '하나님이 말을 건네시는 사건...신학이란 하나님이 먼저 말을 건네고 그 말을 건넨 사건에 대해서 응답하는 성격을 갖게 된다 ' 는 바르트의 말을 소개했다. 그는 "신학은 하나님에 대한 일생에 걸친 한 신학자의 대답이었다. 내가 신학을 했다고 말할때 일생에 걸쳐서 내게 말씀하신 하나님에 대해서 내가 대답을 한 것이 신학이 돼야된다. 말을 걸어오는 하나님에 대해서 응답하는 것, 그 인격적인 작업이 기도로서의 신학이다"며 "그런데 이것이 굉장히 약하게 알려졌고 바르트 자신도 이것 때문에 많이 오해를 받았다. 그게 기도였다. 진행 과정이 바로 기도여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기도는 간구는 기적에 관계된다'. 기도라는 것은 초현실 중에 초현실이다. 과학과 계몽을 넘어선 것이다. 기도한다는 것은 기적, 기적이라는 말 자체도 작아서 표현될 수 없는 기적이다. 그 기적은 나의 눈과 귀를 열어주소서 그 정도가 아니라 '당신을 내게 직접 전달해 주소서' 하며 하나님을 만지는 것이다. '당신 자신을 내게 주소서 나의 하나님'라고 이 책에서는 직접성을 강조했는데 주의해야 할 것은 신비주의로 넘어가면 안된다는 것이다"고 신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신비주의의 가장 큰 오류는 예수를 빠트린다는 점이다. 예수 없는 신비주의는 조심해야 된다. 또 예수라는 이름만 들어가면 안된다. '당신을 내게 직접 전달해 주소서'는 40일의 기적 안에서 정말로 일어났던 일이다. 요한일서 1장에서 우리가 그를 보고 듣고 한게 아니라 손으로 만지고 붙든바 되었다. 우리는 그 증거를 통해서 사건을 확인을 하는 것이지 지금 내가 반복하려고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최초의 증인들은 그걸 보고 듣고 손으로 만졌다. 부활하신 예수를 우리가 손으로 만지고 옆구리의 상처에 손을 넣어봤다는 것이 최초의 증인들이다. 우리는 이 말씀을 귀로 듣고 믿는 2차적 3차적 증인들이다"며 "이는 2차, 3차 증인들을 낙담시키려는게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또 다른 사명이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이 시대 내게 주어진 사명을 추구해야지 내가 그 증인의 자리에 서겠다라는 건 하나님이 계획하지 않고 원하지 않은 나의 욕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역사비평학'에 대한 문제를 짚는 부분을 소개하며 바르트의 전제 두 가지를 강조했다.
그는 "첫째 전제는 일반적인 역사비평학적인 방법론과 똑같이 해야한다는 것이다. 감신(감리교신학대학교)은 너무 열광하지 말고 총신(총신대학교)은 너무 두려워하지 말라. 둘째 전제가 있다"며 "역사비평학 때문에 바르트를 잘못 말하고 있는데 바르트는 둘째 전제까지 말하고 있다. 이 대목이 신학을 바로 세우는데 중요한 대목이고 일반 성서신학자, 역사학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될 대목이다. 이 둘째 전제가 어마어마하게 많은 신약학자들에게 새관점이든 옛관점이든 다 약하게 밖에 인지가 안됐다"고 했다.
신 박사는 "교회교의학에서 신약성서는 첫 글자부터 마지막 글자까지 부활을 호흡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르트 교회교의학을 말할 때는 이걸 말해야 한다. 부활이 없었으면 기록될 이유가 없고 기록될수가 없다. 다 도망갔던 제자들이 왜 기록했겠나? 부활을 선포하려다 보니 땅에 사셨던 분이다 그걸 전제로 했다. 그 다음에 어떤 점에서 사도들이 예수의 부활을 증거했느냐 밝혀내는 것이 역사비평적인 연구이다. 신약신학이 바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둘째 전제는 뭐냐하면 보통 역사의 일반적인 비평 곁에 특별한 성서본문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성서적 본문들은 특별한 본문이라는 말이다. 역사비평학도 다른 학문들처럼 똑같이 연구하되 성서 본문은 다른 역사 기록과 굉장히 다를 뿐더러 독특하고 특이하고 유일회적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성서 본문들은 현실적으로 발생한 하나님의 행동과 하나님의 말씀하심에 대한 증거 더 나아가서 선포라는 전제'라고 바르트는 말한다. 이건 당연하고도 또 당연한 전제인데 종교철학에서는 인정을 안하려고 한다. 성서도 똑같은 문서로 넣고 해야한다고 한다"며 "(성서적 본문의 특별성을 인정하고 난) 그 다음에 역사비평학을 더 많이 동원해서 어떤 점에서 하나님이 증거됐는가 밝혀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