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이 초고령사회로 속속 진입하고 있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남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들어섰고, 전북·경북·강원·충남은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지난 2013년 말 현재 전국 16개 광역단치단체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21.4%), 전북(17.5%), 경북(17.5%), 강원(16.4%), 충남(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이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시,군,구 단위의 농촌지역은 상당수의 지역이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시·군·구 단위에서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고흥군(33.8%), 경북 의성군(33.2%), 경북 군위군(33.2%), 경남 합천군(32.5%), 경남 남해군(31.7%) 등이다. 전국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30%를 넘는 지역은 모두 16곳인데 대부분 영남과 호남 농어촌 지역에 집중돼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인구 3명 가운데 1명은 65세 이상의 노인이라는 얘기다.
반면 울산(12.7%), 대전(14.6%), 경기(14.7%), 인천(15.2%), 광주(16.5%), 서울(17.0%) 등의 고령 인구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 북구(5.6%), 울산 동구(6.1%), 경북 구미(6.4%), 대전 유성구(6.5%), 경기 오산(6.6%) 등 산업 시설이 밀집해 있는 지역의 경우 고령 인구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도 낮다. 1인당 지역총소득이 높은 서울(3685만원), 울산(5059만원), 경기(2686만원) 등은 고령 인구의 비율이 낮은 데 반해 전북 (1997만원), 강원(2028만원), 제주(2240만원) 등은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았다.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심각한 인구 유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전북은 12만7000명, 전남은 13만7000명, 경북은 8만4000명의 인구가 순유출됐다.
특히 젊은 층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반면 고령층의 인구는 유입되고 있다. 지난해 전북 지역의 경우 60세 미만 인구가 3173명 빠져나갔고 60세 이상 인구는 976명 유입됐다. 전남(60세 미만 2642명 유출, 60세 이상 336명 유입)과 경북(60세 미만 3739명 유출, 60세 이상 1874명 유입)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농촌 고령화는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남 지역의 고령 인구 비율은 2030년 33.5%까지 높아진 뒤 2040년 42.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 지역도 2030년 고령인구 비율이 30.8%까지 올라가고 2040년에는 39.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급속한 령화는 농촌 지역 경제에도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심재헌 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농촌 내 활력이 줄어들어 지역개발 사업도 함께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심 위원은 "고령화는 농촌 지역의 소득 양극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나이드신 분들은 경작할 수 있는 작물에 한계가 있고 영세농이 많다"며 "2003년에는 상위 20% 농가가 판매 금액의 50%를 차지했는데 2013년에는 상위 20% 농가가 63%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