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의 경제대국 아르헨티나가 다시 한번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위기를 맞았다. 이 나라는 지난 2001년 1천억 달러의 채무에 대해 디폴트를 선언한 지 13년 만에 또다시 디폴트를 경험하게 됐다. 우리 정부는 한국경제에 미칠 여파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정부 대표단과 미국 헤지펀드 채권단은 미국 뉴욕에서 이틀간의 채무상환 협상을 벌였지만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는 이자지급시한인 이날 자정(한국시간 31일 오후 1시)까지 타결을 보지 못함에 따라 '디폴트'에 빠졌다.
악셀 키실로프 아르헨티나 경제장관은 아르헨티나는 "아르헨티나 국민의 미래를 위험에 빠뜨리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며 미국 헤지펀드 채권단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채권단을 '타인의 불행을 이용하는 사람'이라 비판하며 이들의 요구는 지나치게 탐욕적이라고 비난해 왔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 푸어스'(S&P)는 이날 아르헨티나의 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로 강등했다.
아르헨티나 대표단은 15억달러(1조5천382억원) 규모의 채무 전액 상환을 요구하고 있는 2개 헤지펀드 채권단과 지난 6월부터 협상을 벌여왔으나 모두 결렬됐다.
아르헨티나는 지난 2001년에도 1000억 달러에 이르는 채무를 갚지 못해 디폴트를 선언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는 이번 디폴트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2001년 수준때 만큼은 아니더라도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미 아르헨티나 경제성장률이 마니너스로 접어들었다. 이후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안전자산인 달러화를 선호하면서 자국 화폐인 페소화 가치 하락을 불러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4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가 상승률을 더 높아지게 할 위험이 있다.
아르헨티나가 지난 2001년 디폴트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위치에 몰렸다는 점에서 국제적 영향을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앞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아르헨티나 채무위기의 영향은 최소한의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